CNN "미군, 북한 미사일 발사 직후 본토 타격 긴급 대비"(종합)

김지은 2022. 1. 14. 15: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새해 들어 두번째 미사일을 발사한 지난 11일 미군이 미사일 발사 직후 미 본토 타격 가능성에 긴급 대비했었다고 CNN이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외신에 따르면 미군은 초기 텔레메트리(먼 거리나 접근할 수 없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것을 감시하는 시스템) 정보를 토대로 당시 북한 미사일이 알래스카 알류산 열도나 서부 캘리포니아 해안을 타격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일부 공항 이륙 일시 정지 초기 경보와 연관

[서울=뉴시스] 북한 조선중앙TV는 12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발사를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TV 캡처) 2022.01.12.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북한이 새해 들어 두번째 미사일을 발사한 지난 11일 미군이 미사일 발사 직후 미 본토 타격 가능성에 긴급 대비했었다고 CNN이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외신에 따르면 미군은 초기 텔레메트리(먼 거리나 접근할 수 없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것을 감시하는 시스템) 정보를 토대로 당시 북한 미사일이 알래스카 알류산 열도나 서부 캘리포니아 해안을 타격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다만 텔레메트리 데이터는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 정확한 정보가 입수되는 즉시 폐기된다.

미국 북부사령부와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는 몇 분 만에 텔레메트리 데이터를 폐기하고 발사체가 본토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분석을 내렸다.

실제 북한의 미사일은 중국과 일본 사이의 바다에 떨어졌다.

그러나 초기 경보가 관계 기관 등에 전달되면서 일부 혼선이 빚어졌다.

당시 미 연방항공청(FAA)은 북한이 미사일을 쏜 직후 예방적 조치 차원에서 서부 해안 일부 공항에서의 이륙을 일시 정지시켰다고 밝혔는데 이 조치도 군의 초기 분석에 따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조치는 15분 이하로 유지됐다.

항공 관제사들은 당시 이륙 지연 사유를 묻는 파일럿의 질문에 제대로 답하지 못했고, 미 전역에 이륙 금지조치가 내려졌다는 잘못된 정보를 전달한 관제사들도 있었다고 CNN은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kje1321@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