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은 왜 위기에 빠졌나.. 일정 중단·선대위 해체 등 잇단 극약 처방

홍인택 2022. 1. 14. 0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의 칩거가 길어지고 있다.

12일 밤 돌연 일정 중단을 선언한 데 이어 13일에도 두문불출하면서 지지율 위기 타개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이날 발표(10~12일 실시)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심 후보 지지율은 3%로, 단기간에 반등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해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권교체론 흡수 못 한 채 
페미니즘 메시지 갈팡질팡
이틀째 칩거·전략 수정 고민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가 1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기자협회 초청토론회에서 패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의 칩거가 길어지고 있다. 12일 밤 돌연 일정 중단을 선언한 데 이어 13일에도 두문불출하면서 지지율 위기 타개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정의당은 선거운동 쇄신 차원에서 선거대책위 해체를 결단했으나, 심 후보 복귀 전까지는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여영국 정의당 대표는 13일 심 후보와 연락이 닿지 않아 국회 의원회관 내 심 후보의 사무실을 찾아 "통화가 안 되면 집에라도 찾아가볼까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 대표는 선대위원 총사퇴와 선대위 해체와 관련해서 "후보의 잠시 멈춤에 많은 억측을 쏟아내고 있지만, 더 단단한 걸음을 내딛기 위한 결단의 시간"이라며 "선대위원들의 사퇴 결의도 대선 승리를 위한 성찰과 의지의 표현"이라고 강조했다. 후보 중도 사퇴 가능성엔 거리를 둔 것이다.

이날 발표(10~12일 실시)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심 후보 지지율은 3%로, 단기간에 반등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해 보인다.

여영국(오른쪽) 정의당 대표가 13일 국회 의원회관 심상정 의원실을 방문한 후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진보가 유리했던 2017년과 다른 환경

심 후보가 직면한 위기는 총체적이다. 우선 선거 구도가 2017년 대선과는 다르다. 박근혜 정부 탄핵 직후 치러진 2017년 대선에선 시작부터 진보진영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환경이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꾸준히 '1강 구도'를 유지하면서 당선됐고, 심 후보 역시 TV 토론 등을 통해 진보 색채를 선명하게 드러내면서 진보정당 후보 가운데 역대 최다 득표율(6.17%)을 기록했다. 그러나 이번 대선에선 진보진영인 문재인 정부에 대한 정권교체론이 정권유지론보다 우세한 구도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심 후보는 정권교체를 넘어선 "정치교체"를 강조하고 있지만, 문재인 정부에서 심 후보의 행보는 정권교체론에 편승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다. 심 후보는 20대 국회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위해 민주당과 협력했고, 이를 위해 2019년 '조국 사태' 당시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엄호에 나섰다. 채진원 경희대 공공거버넌스연구소 교수는 "민주당 2중대 역할을 했다는 비판을 받으면서도 정권교체와 다당제 구현을 외친다는 점에서 다소 모순이 존재한다"고 분석했다.


20대 여성 등 지지층 겨냥 메시지 불분명

13일 정의당 선대위회의가 열리는 국회 회의실이 비어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핵심 타깃을 향한 메시지도 종종 흔들리는 모습이다. 정의당의 새로운 지지층으로 떠오른 20대 여성에 대한 메시지가 대표적이다. 심 후보는 "진짜 페미니스트 대통령이 되겠다"고 선언했지만, '페미니즘에만 집중한다'는 평가를 달가워하지 않는다. 그는 전날 한국기자협회 초청토론회에서도 "정의당이 페미니즘 의제를 최우선으로 했다는 건 오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는 20대 여성 지지율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 7~9일 실시된 한국리서치·KBS 여론조사 결과, 20대 여성 응답자 중 심 후보 지지율은 14.1%였다.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21.7%)와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15.9%)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결국 심 후보의 향후 선거전략에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견해가 많다. 윤태곤 더모아 정치분석실장은 "어떤 때는 A부터 Z까지 다 하려고 하고, 어떤 때는 정체성 정치(성별·세대·인종 등 집단 정체성에 기반한 정치)를 하는 것 같다"며 "어떤 세대를 공략할지 전략적 목표점이 분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자세한 여론조사 결과는 NBS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홍인택 기자 heute128@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