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처음 종철이 추모제 빠져서 미안타..마지막 통화일 줄이야"

한겨레 2022. 1. 13. 23: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배은심 어머니는 저의 사소한 일상사까지도 의논 드리고 조언을 구하는, 그런 어머니였습니다.

"엄니, 종철이 젯상에 밥이랑 국도 올릴까요?" "니 마음 가는대로 해라. 그런데 그노무 자슥 아침밥도 못 얻어 먹고 죽지 않았냐?".

배은심 어머니, 참 큰 어른이셨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그 어머니 아버지들께서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찬 바닥에서, 혹 마지막일 수도 있는, 그리고 배은심 어머니께는 마지막이 되어 버린, 싸움을 하고 계십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신이의 발자취] 고 배은심 어머니를 그리며
지난 11일 광주 망월동 민족민주열사묘역(5·18 구묘역)에서 고 배은심 어머니의 사회장 행렬이 아들 이한열 열사의 묘를 돌고 있다. 연합뉴스

배은심 어머니는 저의 사소한 일상사까지도 의논 드리고 조언을 구하는, 그런 어머니였습니다. 하루가 멀다하고 찾아뵙거나 통화를 했었지요. 바로 지난주 통화 때도 “병원밥 괜찮아요?” 하며 이런저런 얘기하다 “지난 삼십 몇년을 갔었는데 올해는 종철이 추모제 처음으로 빠지니 미안타” 하셨지요. “엄니, 종철이 젯상에 밥이랑 국도 올릴까요?” “니 마음 가는대로 해라. 그런데 그노무 자슥 아침밥도 못 얻어 먹고 죽지 않았냐?”. “아, 네…. 아버지(박정기)께는요?” “술 한 잔 올려 드리면 되지 않겠냐?” “네, 9일 추모제 끝내고 전화 드릴게요” “그래라~”.

그런데 끝내 전화를 드릴 수 없게 되고 말았습니다. 대신 그날 영정 앞에서 소식 올렸습니다. 2018년 7월 박정기 아버지 돌아가셨을 때 어머니 말씀이 “아따 아버지는 이리도 더울 때 가신다냐?” 그래서 “엄니, 한열이 때가 더 더워요.” 그리 응석을 부렸는데, 어머닌 무척이나 추운 날 골라서 가셨네요.

배은심 어머니, 참 큰 어른이셨습니다. 가슴에 자식을 묻고도 늘 더 아프게 죽은 자들, 더 고통받는 자들을 위로하시고 그들을 위해 싸우셨습니다. 한열이를 외쳐 부르기보다는 용산 열사들을, 세월호 희생자들을, 용균이를 더 목놓아 부르셨습니다. 그렇게 어머니는 한열이 가던 길을 걸으셨습니다. 남은 저희들은 서럽지만 그래도 그립던 한열이도 만나고, 한열이 아버지(이병섭·1995년 별세)도 보면서 좋아하실 어머니 생각하면 조금 위로가 됩니다.

그러고 보니, 내일(14일)이 동생 종철이 떠난 날입니다. 그날 그렇게 얼어붙은 강 바람에 자식 흩날려 보내고 박정기 아버지께서는 오래도록 참 많이 괴로워하셨습니다. 2년이 지나서야 초혼을 하여 무덤을 만들었지요.

그런데 유가협(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에 모이는 어르신들은 이리 말씀하십니다. “당신 자식은 어떻게 죽었는지는 알지 않소.” 그러면 또 다른 분은 이러십니다. “에고, 그런 말 마소. 당신 자식은 주검이라도 찾았지.”

고 배은심(맨오른쪽) 어머니는 1998년부터 422일간 국회 앞에서 유가협 회원들과 함께 천막농성을 벌여 민주화운동보상법과 의문사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이끌어냈다. 1999년 9월 천막농성장에서 박정기(가운데) 아버지, 이해동(맨왼쪽) 목사 등과 함께한 모습이다.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제공
배은심(오른쪽 둘째) 어머니가 1999년 12월17일 국회 행정자치위에서 민주화운동보상법이 통과되자 박정기(맨왼쪽) 아버지, 김근태(왼쪽 둘째)·유선호(맨오른쪽) 등과 함께 기뻐하고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지난 9일 별세한 고 배은심(왼쪽) 어머니가 쓰러지기 직전인 지난해 12월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민주유공자법 제정’ 1인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1일 고 배은심 어머니가 잠든 광주 망월동 민족민주열사묘역(5·18구묘역)에 고인의 마지막 염원이었던 ‘민주유공자법 제정’을 다짐하는 펼침막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이렇게 상처 받은 어르신들이 같이 모여 서로를 위로하고 의지해 가며 지난 수십년 자식이 못다간 길을 걸으셨습니다. 그리고 지금도 그 어머니 아버지들께서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 찬 바닥에서, 혹 마지막일 수도 있는, 그리고 배은심 어머니께는 마지막이 되어 버린, 싸움을 하고 계십니다. 23년째 국회 문턱에 막혀 있는 ‘민주유공자법 제정하라’ 외치고 계십니다. 이 엄동설한을 한 데서 지새울 작정이십니다. 오직 자식의 명예회복을 위해서….

‘셀프 입법’이니, ‘민주주의 장사’라느니, 한 술 더 떠 아예 대놓고 ‘우리가 예우 받을려고 민주화운동 한 게 아니다’라는 둥, 말하는 그 정치인들. 그들에게 감히 한 말씀 드립니다. 여러분이 진정 민주화운동에 헌신하셨다면 예우받을 자격 충분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그렇다 해서, 전태일 박종철 이한열을 국가유공자로 예우하고자 하는 그 길을 막지는 말아주십시요.

벌써 어머니가 보고 싶네요. 지난해 연말 민주유공자법 제정 위한 싸움 시작하면서 그러셨지요. ‘아직도 이러고 있는 게 부끄럽고 미안하다’고. 마치 당신을 위해 법 만들어 달라고 하는 것 같아 부끄럽고, 아직도 죽은 자식들 명예회복을 못해줘서 미안하다는 그런 말씀이셨습니다. 거의 대부분의 열사 부모님들이 돌아가셨기에, 몇 분 남지 않은 어머니 아버지들께서 지금 이 시간에도 자식들의 명예회복을 위해 싸우고 계심을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박종부/박종철기념사업회 이사, 박종철 열사 형

1987년 7월 서울 연세대세브란스병원 이한열 열사의 빈소에서 배은심(왼쪽) 어머니가 문익환 목사의 어머니 김신묵(오른쪽) 권사와 동생 문동환 목사의 조문을 받고 있다.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이 10일 최초로 공개한 사진이다.
1988년 9월14일 연세대에서 열린 이한열 열사 추모비 제막식 장면. 오른쪽 세번째부터 이 열사의 아버지 이병섭·어머니 배은심, 박종철 열사 아버지 박정기, 문익환 목사, 김대중 평화민주당 총재, 계훈제 선생, 황명수 통일민주당 부총재 등이다. 연세대 김대중도서관 제공.
고 배은심 어머니는 1987년 7월 이한열 열사를 보내고 유가협에 참여해 아들 대신 민주화 투사로 나섰다. 1989년 8월 유가협 창립 3주년 기념잔치 때 박정기 아버지와 함께 차기 임원으로 선출됐다. 유가협 제공
배은심 어머니는 1988년부터 지난해까지 박종철 열사 추모제를 유족들과 함께 지냈다. 사진은 2017년 1월14일 남양주시 마석 모란공원에서 열린 박 열사 30주기 추모제 때로, 오른쪽부터 이부영 몽양기념사업회 이사장,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배은심 어머니, 전태일 열사의 동생 전태삼, 박 열상의 형 박종부씨 등이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제공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