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산업은행 "대우조선 민간 주인 찾을 것"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는 13일 유럽연합(EU)이 대우조선해양(042660)과 현대중공업(329180)간 기업결합을 승인하지 않은 데 대해 "아쉽게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다만, "조선업계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민간 주인찾기'가 필요하다는 것이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대우조선의 근본적 정상화를 위해서는 '민간 주인찾기'가 필요하다는 것이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역설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노희준 기자] 정부는 13일 유럽연합(EU)이 대우조선해양(042660)과 현대중공업(329180)간 기업결합을 승인하지 않은 데 대해 “아쉽게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다만, “조선업계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민간 주인찾기’가 필요하다는 것이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EU는 13일(현지시각) 대우조선과 현대중공업간 기업결합을 불허하는 심사 결과를 내놨다. 앞서 2019년 1월 산업은행과 현대중공업은 대우조선과 현대중공업 간 기업결합을 추진하기로 합의하고 경쟁당국의 기업결합 심사 등 필요한 절차를 추진해왔다.
정부는 다만, EU의 불승인 결정이 조선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봤다. 최근의 조선산업 여건이 2019년 당시보다 개선됐다는 이유에서다. 기업결합 추진을 결정했던 당시에는 2016년 수주절벽과 장기간 불황 여파에 따른 국내 조선사 간 가격경쟁 및 과잉공급의 해소가 시급했지만, 지난해부터 조선업 상황은 달라졌다는 판단이다.
정부는 또 조선산업 여건 개선을 최대한 활용해 국내 조선산업 경쟁력 제고와 대우조선 정상화를 흔들림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핵심기술·기자재 중심 고부가가치 산업전환, 원활한 생산인력 수급, 상생·발전 생태계 구축 등 조선산업 경쟁력 확보 노력 등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대우조선 채권단은 대우조선이 정상적으로 수주·조업할 수 있도록 RG(선수금보증) 등 기존 금융지원을 2022년말까지 연장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대우조선의 근본적 정상화를 위해서는 ‘민간 주인찾기’가 필요하다는 것이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외부전문기관의 컨설팅 등을 바탕으로 산업은행(대주주) 중심으로 대우조선 경쟁력 강화방안도 조속한 시일 내에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노희준 (gurazip@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재명 제보자, 누운 채 심장마비로 사망"…부검 결과 발표
- 클럽 '귀 절단' 사건, CCTV 본 경찰 "넘어지는 장면 나오지만…"
- '빌라 투자로 27억 자산가' 환경미화원 "해고하라" 무슨 일?
- 면접 없었다던 김건희 채용, "3명 면접해 공개경쟁"
- “오미크론 지나면 코로나 독감 수준” 빌게이츠는 알고 있다?
- 10대 의붓딸 때려 숨지게 한 계모, 징역 30년…정인이법 첫 적용
- 광주 아파트 붕괴 실종자 1명 지하 1층서 발견(종합)
- 정찬성 "내 평생의 목표 기회 찾아와...챔피언 이길 수 있다"
- 진중권 "난 위문편지에 '명복을 빈다'고 썼다" 누리꾼과 설전
- ‘깡통주식’ 팔아 540억 가로챈 사기꾼 일당 항소심서도 실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