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톡스의 아버지' 앨런 스콧 박사 별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용 성형을 위해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보톡스를 개발한 미국의 의학자 앨런 스콧 박사가 지난달 16일 고향 캘리포니아주(州) 그린브래의 병원에서 별세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콧 박사는 '보톡스의 아버지'로 불린다.
근육을 마비시키는 보톡스가 주름살 제거 등 미용 성형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세계적인 인기를 끌게 됐다.
보톡스의 지난해 1~9월 세계 판매량은 33억달러(약 3조9000억원)에 달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용 성형을 위해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보톡스를 개발한 미국의 의학자 앨런 스콧 박사가 지난달 16일 고향 캘리포니아주(州) 그린브래의 병원에서 별세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향년 89세. 스콧 박사는 ‘보톡스의 아버지’로 불린다.
안과를 전공한 그는 신경조직을 파괴하는 보툴리눔 독소를 연구했다. 이 독소가 사시 치료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었다.
그는 1978년 사시 환자의 눈 주변 근육에 보툴리눔 독소를 주사해 치료에 성공했다. 이후 약물 개발을 본격화했다. 이 과정에서 제약사의 지원을 받지 못해 자택을 담보로 자금을 마련하기도 했다. 1989년 마침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았지만 1991년 제조권을 미국 제약사 알레그랜에 매각했다.
제조권을 사들인 알레그랜은 당초 ‘오큘리넘’이던 이 약품의 상표명을 보톡스로 고쳤다.
근육을 마비시키는 보톡스가 주름살 제거 등 미용 성형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세계적인 인기를 끌게 됐다. 보톡스의 지난해 1~9월 세계 판매량은 33억달러(약 3조9000억원)에 달한다. 은퇴 후 사시 연구재단을 설립하기도 한 스콧 박사는 “어차피 돈을 쓰는 것에 능숙하지도 않다”고 말하기도 했다.
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
▶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s 한경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세계인이 한번 이상 봤다…유튜브 100억뷰 달성한 韓 영상
- 초유의 붕괴 사고…"HDC현산, 하루 10억씩 보상금 물어줄 판"
- "이건 도 넘었다"…샤넬, 또 가격 올리더니 이번엔 '뒤통수'
- 외국인, 작년 한국 증권 40조 순매수…12년 만에 최대 [김익환의 외환·금융 워치]
- "임신 9개월인데 남편이 여직원과…" 대구 공무원 '불륜' 논란
- "마누라 잘 만난 놈" 한창, ♥장영란 손길에 커가는 한방병원에 '뿌듯' [TEN★]
- '송지아 커플' 김현중 "약물 안했다…이상형은 한소희"
- 'LA 한량언니' 윤현숙, 쇼핑가서 화보 촬영중...51세 맞어[TEN★]
- 장성규, 빵빵한 배 어디갔어? 16kg 감량 후 6개월째 '유지어터'
- "오징어게임 또 일냈다"…美 배우조합상 4개 후보 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