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주가 추락 일단 멈춤.. 무너진 신뢰 회복이 관건 [카카오 전면쇄신]

김미희 2022. 1. 13. 18: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카카오가 13일 엄격한 '전 계열사 임원 주식 매도 규정안'을 발표했지만 증권 시장의 반응은 여전히 차갑다.

증권가에선 주주 등 시장신뢰를 잃은 카카오 주식 하락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최근 불거진 '오스템 사건' 등 경영진 도덕성에 대한 정성적 평가가 민감한 지금, 카카오페이 임원진 대량 주식 매도는 카카오에 단기적 악재일 수밖에 없다는 반응도 나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임원 주식매도 제한 발표했지만 시장은 "효과는 좀더 지켜봐야"
반년새 40% 넘게 빠진 주가
시총 순위도 9위까지 밀려
3천억 상생안 등 적극 추진할듯

카카오가 13일 엄격한 ‘전 계열사 임원 주식 매도 규정안’을 발표했지만 증권 시장의 반응은 여전히 차갑다.

증권가에선 주주 등 시장신뢰를 잃은 카카오 주식 하락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실제 카카오 시가총액순위도 9위까지 밀려난 상태다.

특히 카카오가 기업공개(IPO)를 추진하고 있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카카오엔터)와 카카오모빌리티 등 공동체 상장도 재검토 계획을 밝혔지만 회의적 시각이 나온다. 투자자들이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기다리고 있어 마냥 추가 상장을 늦추기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카카오는 시장 신뢰회복을 위해 혁신 성장과 글로벌 진출에 최선을 다할 것이란 입장을 내놨다.

무엇보다 카카오는 '3000억 규모 상생안'을 올해 경영계획부터 반영한 것으로 확인됐다. 카카오엔터,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페이 등이 각각 상생안을 실행해 플랫폼 참여자들 신뢰도 함께 회복하는 전략이 모색되고 있다.

■카카오 신뢰 회복 ‘가시밭’ 예상
13일 증권업계는 이번 카카오 결정 관련,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는 반응을 내놨다. 다만, 늦게라도 회사가 심각성을 알고 각종 조치를 단행한 것에 대해서 긍정적 시선을 보내고 있다.

일단 카카오 주가는 급락은 멈춘 상태다. 지난해 6월 16만~17만원까지 올랐던 주가는 지난 11일 장중 9만4500원까지 떨어졌다. 불과 반년만에 40% 이상 급락한 셈이다. 하지만 회사가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류영준 카카오 최고경영자(CEO) 내정자 자진사퇴 카드까지 내놓자 주가 하락은 멈췄다. 이날은 전날 보다 0.51%(500원) 하락한 9만67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지금이라도 주주가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선 행보는 한편으로 긍정적이지만 신뢰를 회복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불거진 ‘오스템 사건’ 등 경영진 도덕성에 대한 정성적 평가가 민감한 지금, 카카오페이 임원진 대량 주식 매도는 카카오에 단기적 악재일 수밖에 없다는 반응도 나왔다.

주요 경영진이 보유한 주식을 매도하는 것은 회사에 대한 부정적 시그널로 작용하기 때문에 처분에 극도로 주의하는 것이 관례인데, 카카오는 이 같은 시장 관례를 외면했다는 지적이다. 게다가 계열사 상장 재검토는 전략적투자자(SI)와 재무적투자자(FI)에게 부정적 뉴스라고 업계에서는 우려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핵심 자회사 상장으로 인해 모회사 가치가 희석되는 등 중복상장으로 인한 ‘더블카운팅’ 관련 제도 개선이 공론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카카오 3000억 상생안 가동 예고
하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카카오의 발 빠른 대응에 대한 기대감도 제기됐다. 지난 10일 류영준 카카오 공동대표 내정자(카카오페이 대표) 자진사퇴에 이어 곧바로 재발 방지책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카카오 내부에서도 이번 사태에 심각성을 인지하고 신뢰회복을 위한 다양한 대안을 강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카카오 컨트롤타워 ‘공동체 얼라인먼트센터(CAC)’가 곧바로 가동했다는 점도 이를 방증한다.

카카오 관계자는 “지난해 하반기 발표했던 향후 5년 간 3000억 원 규모 상생기금 마련안을 올해 경영계획에 보다 구체적으로 반영한 상태”라며 “플랫폼 이용자 및 사업자 등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곧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더불어 카카오페이 임원진 대량 주식 매도에서 불거진 이번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제도 마련 논의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소액 주주 피해로 이어지는 경영진 스톡옵션 행사를 제한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