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눈] '제3 광주 붕괴사고' 막으려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거리에서 공사 현장을 마주할 때면 발걸음이 유난히 빨라지곤 한다.
혹시라도 공사 중인 건물이 무너지거나 건축 자재 등이 떨어져 사고를 당하진 않을까 하는 불안감 때문이다.
이번 사고가 발생하기 전 인근 주민들이 사고 위험을 감지하고 각종 민원을 제기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연이은 사고에 시민들은 벌써 '제3의 광주 붕괴 사고'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거리에서 공사 현장을 마주할 때면 발걸음이 유난히 빨라지곤 한다. 혹시라도 공사 중인 건물이 무너지거나 건축 자재 등이 떨어져 사고를 당하진 않을까 하는 불안감 때문이다. 현장에서 반복된 각종 사고가 막대한 피해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지 못하는 사이 시민들이 일상에서 느끼는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되풀이된 광주 붕괴 사고도 같은 맥락이다. 이번 사고가 발생하기 전 인근 주민들이 사고 위험을 감지하고 각종 민원을 제기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현장에서 건축 자재 추락이나 과다한 먼지 날림, 지반 침하 등 안전 문제가 이어지면서 이들은 이미 불안감을 느꼈던 것이다. 이러한 이상 징후가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을 말해준다고 단정 지을 수 없지만 현장에 대한 안전 관리가 미흡했다는 현장 증언이 속속 나오면서 ‘예견된 인재’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은 ‘책임 회피성’ 해명에 급급하다. 현산 측은 사고 이튿날인 12일 언론에 배포한 자료를 통해 ‘공기 단축에 따른 부실 시공 가능성’을 완강히 부인했다. ‘콘크리트 양생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것’이란 전문가 의견에도 “사실과 다르다”며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이번 사고 원인이 밝혀지기도 전에 부실 시공 등 자신의 책임 가능성부터 차단하는 모습이다.
이는 책임자의 고질적인 안전 불감증을 보여주는 대목이 아닐까 싶다. 과거 사례를 보면 많은 사고가 발생 가능성을 배제하는 데서 시작됐다. ‘아무 문제 없겠지’라는 안일한 판단이 곧 큰 사고를 불러오곤 했다. 반대로 조금만 더 주의했다면 막을 수 있는 사고였다는 의미다. 불과 7개월 전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 학동 붕괴 참사도 그랬다.
연이은 사고에 시민들은 벌써 ‘제3의 광주 붕괴 사고’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다. 같은 사고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약속과 달리 무고한 시민들의 희생이 되풀이된 탓이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현산 등 건설 업계에선 각종 안전 대책을 쏟아냈지만 곳곳에 만연한 안전 불감증을 해결하지 못하면 소용없는 일이다. “안전은 예나 지금이나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던 시공사 대표의 신년사가 말로 그치면 안 되는 이유다.
노해철 기자 sun@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기상어' 세계 최초 100억뷰 돌파 '전세계인 한번은 봤다'
- '여고생이 왜 성인 남성 위로'…'위문편지' 금지 촉구 靑청원
- 순직 조종사, '탈출' 외치고도 조종간 잡은 이유가
- 김어준, '멸공'→'○○' 정용진에 'SNS 중독 상황인 듯'
- '연예인 일감 또 끊겼다'…모델·가수·쇼호스트 '안 하는 게 없다'
- [단독] 상상 속 숫자 '1경' 돌파…LG엔솔, 역대급 수요예측
- 버스 뒷좌석에서 담배 핀 아이들…'이거 실화냐?'
- '죽는 줄 알았다…삼풍백화점 생각 나더라' 광주 붕괴 목격자 증언
- '술 깨보니 귀 잘려'…강남 클럽서 피흘린채 발견된 20대 여성
- '갑자기 피부에 '이것' 생기면 오미크론 의심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