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 '마이데이터' 표준 마련 본격 착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전 분야 '마이데이터' 도입의 초석으로 구체적인 데이터 표준화 전략 마련을 위한 자문(컨설팅) 사업 착수보고회를 14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정렬 개인정보위 개인정보정책국장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보장을 목적으로 추진되는 전 분야 마이데이터의 도입과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분야 간 마이데이터 연계를 위한 표준화를 비롯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활용 기반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며 "개인정보위는 표준화 전략 수립을 통해 정보 주체가 자신의 개인정보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분야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행사할 수 있는 마이데이터 환경을 주도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김윤희 기자)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전 분야 '마이데이터' 도입의 초석으로 구체적인 데이터 표준화 전략 마련을 위한 자문(컨설팅) 사업 착수보고회를 14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마이데이터는 정보 주체가 개인정보를 본인 또는 제3자에게 전송 요구할 수 있도록 해 신용평가, 자산관리, 건강관리 등 데이터 기반 서비스에 주도적으로 활용하게 하는 제도다.
최근 금융·공공 분야 등에 마이데이터가 도입됐으나 전 분야를 아우르는 데이터 이동이나 개인 맞춤형 서비스는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분야 간 데이터 형식과 전송 방식 등이 상이해 산업 간 마이데이터 표준화 등 기반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개인정보위는 지난해 11월 ‘마이데이터 표준화 협의회’를 통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야 간 마이데이터 표준화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번 사업은 앞으로 개인정보위가 중점 추진할 마이데이터 표준화의 단계별 이행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개인정보위는 주요 10대 분야를 중심으로 전 분야 마이데이터 도입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개인정보위는 사업 결과가 나오는 대로 마이데이터 표준화 협의회를 통한 부처 간 논의를 거쳐 본격적인 표준화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전 분야에 원활하게 개인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전 분야 공통 항목을 중심으로 마이데이터 형식을 표준화한다. 인증·보안체계를 포함한 데이터 다운로드·제3자 제공 등 전송 방식도 표준화할 예정이다.
이정렬 개인정보위 개인정보정책국장은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보장을 목적으로 추진되는 전 분야 마이데이터의 도입과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서는, 분야 간 마이데이터 연계를 위한 표준화를 비롯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활용 기반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며 ”개인정보위는 표준화 전략 수립을 통해 정보 주체가 자신의 개인정보에 대한 자기결정권을 분야에 구애받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행사할 수 있는 마이데이터 환경을 주도적으로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윤희 기자(kyh@zdnet.co.kr)
Copyright©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재계 세대교체 서막...미래먹거리 챙기는 오너家 3·4·5세
- "내년은 더 힘들다"…홈쇼핑, 수장 교체로 위기 돌파할까
- LG전자, 내년 전장 사업 더 좋다...영업익 2.5배 증가 전망
- 보스턴 이어 고스트까지...사족보행 로봇 품은 韓
- EU, 세계 첫 'AI 규제법' 제정 논의 재개
- 8년만에 새차로 돌아온 벤츠 ‘E클래스’…내년 1월 출시
- 카카오 노조 "카카오엔터 경영 문제 투명하게 밝혀내야"
- "쏟아부어야 이긴다"…전기차 수익개선 언제쯤?
- SK하이닉스, AI-HBM 인재 선점 나섰다...경력 채용 기준 완화
- 넥슨 '더 파이널스', 출시 1시간 만에 스팀 동접자 12만 명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