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코로나19 사망자 '先화장 後장례' 원칙 폐기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13일 "정부는 가족의 임종권을 빼앗고 인간답게 죽을 권리를 박탈하는 '선(先) 화장 후(後) 장례' 원칙을 폐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인간답게 살 권리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인간답게 죽을 권리이고 그 핵심은 가족의 임종권"이라며 "그런데도 현장의 상황과 정부의 불확실한 지침으로 인해 어떤 곳은 가족 한 분만 CCTV로 임종을 지킬 수 있고 어떤 곳에선 그것조차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민성 기자 =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13일 "정부는 가족의 임종권을 빼앗고 인간답게 죽을 권리를 박탈하는 '선(先) 화장 후(後) 장례' 원칙을 폐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세상에 떠날 때 사망자의 존엄과 유족의 애도가 보장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안 후보는 "인간답게 살 권리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인간답게 죽을 권리이고 그 핵심은 가족의 임종권"이라며 "그런데도 현장의 상황과 정부의 불확실한 지침으로 인해 어떤 곳은 가족 한 분만 CCTV로 임종을 지킬 수 있고 어떤 곳에선 그것조차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임종 전에도 못 보고 돌아가셨어도 얼굴조차 보지 못하고 장례를 치러야 한다면 망자에게도 유가족에게도 너무나 가혹하다"고 강조했다.
안 후보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로 사망한 시신이 장례식장에 들어가려면 사후 음성 판정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의학적으로 살펴봐도 사람이 죽으면 바이러스는 더 이상 살지 못한다"며 정부의 정책을 비판했다.
안 후보는 또 "이미 작년 12월 질병관리청은 바꾸겠다고 밝혔지만 현장에선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감염 우려도 있지만 방호복을 철저히 착용한다면 방지할 수 있다. 또 위중한 코로나19 환자가 입원한 대형병원의 경우에는 음압 시설을 갖춘 임종실을 별도로 운영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죽은 사람은 숨을 쉬지 않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몸 밖으로 나올 수 없다"며 "코로나19 사망도 한스러운데 장례조차 제대로 치르지 못하게 하는 것은 천륜을 저버리는 것"이라고 했다.
안 후보는 지난 2020년 총선을 앞두고 대구에 의료봉사하러 갔던 상황을 언급하며 "한 아주머니는 남편과 함께 코로나19에 걸린 후 다른 병원에 입원했는데 남편이 사망하는 바람에 얼굴도 못 보고 장례식도 못 간다고 말했다"고 사연을 전하기도 했다.
m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손예진 '244억 건물' 공실…1년 이자비용만 6억 이상" 전문가 분석 깜짝
- "세차하면 비 오는 분들, 제발 부탁"…산불에 '현대식 기우제' 애원
- "딸 면접교섭때 여친 데려온 전남편…아이는 뒷전, 둘이 놀이기구 탔다고"
- "불길 피해 얼음장같은 물속에…화상 위에 동상 걸릴 뻔" 계곡에 피신해 생존
- "부부관계 계속 피하는 남편, '50㎏→70㎏' 내 탓인가…상처받았다"
- "여직원들 물병에 몰래 오줌"…13명에 성병까지 옮긴 美청소부
- 정한용 "귀신 나오는 싼 아파트, 무시하고 입주…몇 달 새 쫄딱 망했다"
- "5개월·26개월 아기도 1인 1메뉴?…부모 2인분만 시키면 민폐인가요"
- "아들 사고로 떠난 뒤 며느리 재혼 후 외국에…혼자 남은 손자, 입양될까요"
- 추성훈이 김새론 장례비 내줬다?…"가짜뉴스, 사적 친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