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지 실린 삼성전자 신기술 보니
12일(현지시간) 네이처는 MRAM 기반으로 인-메모리 컴퓨팅을 구현한 삼성전자의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인-메모리 컴퓨팅은 메모리 내에서 데이터의 저장과 연산을 수행하는 최첨단 칩 기술을 뜻한다. 메모리 내 대량의 정보를 이동 없이 메모리 내에서 병렬 연산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가 현저히 낮다. 이같은 이유로 차세대 저전력 인공지능(AI) 칩을 만드는 유력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 수년간 RRAM(저항메모리)과 PRAM(상변화메모리) 등 비휘발성 메모리를 활용한 인-메모리 컴퓨팅의 구현은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높은 연구 주제였다. 다만 비휘발성 메모리인 MRAM은 인-메모리 컴퓨팅으로 구현되지 못했다. 데이터 안정성이 높고 속도가 빠른 장점에도 불구하고, 저항값이 낮다는 특성으로 인해 인-메모리 컴퓨팅에 적용해도 전력 이점이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 연구진은 이러한 MRAM의 한계를 기존의 '전류 합산' 방식이 아닌 '저항 합산' 방식의 새로운 인-메모리 컴퓨팅 구조를 제안했고, 저전력 설계에 성공했다. 연구진은 MRAM 기반 인-메모리 컴퓨팅 칩의 성능을 인공지능 계산에 응용해 숫자 분류에서는 최대 98%, 얼굴 검출에서는 93%의 정확도로 작동하는 점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시스템 반도체 공정과 접목해 대량 생산이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인 MRAM을 세계 최초로 인-메모리 컴퓨팅으로 구현하고, 차세대 저전력 AI 칩 기술의 지평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연구진은 새로운 구조의 MRAM 칩을 뉴로모픽 플랫폼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정승철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이 이번 연구의 제1저자로, 함돈희 종합기술원 펠로우 및 하버드대학교 교수와 김상준 종합기술원 마스터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반도체연구소, 파운드리사업부 연구원들도 공동으로 참여했다. 정 전문연구원은 "인-메모리 컴퓨팅은 메모리와 연산이 접목된 기술로, 기억과 계산이 혼재되어 있는 사람의 뇌와 유사한 점이 있다"며 "이번 연구가 향후 실제 뇌를 모방하는 뉴로모픽 기술의 연구 및 개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유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행시 합격 1년뒤 학원강사 이직…2030 세종 관가 탈출 줄잇는다
- [단독] LG화학 공격투자 "美·유럽에 양극재공장 설립"
- 딸기쏙 찹쌀떡 히트치더니…GS리테일 550억 투자해 쿠캣 인수
- "불가능하다고 여겼는데, 삼성이 또 해냈다"…네이처에 실린 차세대 컴퓨팅
- 전기차 단점 `긴 충전 시간`, 중국은 화끈하게 통째로 바꾼다
- “흔들리지 않아요” 지드래곤, 마약 음성 후 다시 올린 게시물
- 美·유럽 의사 ‘열광’…치과용 CT 세계 1위 [MANAGEMENT]
- 티아라 출신 아름, 이혼·재혼 동시 발표…“소송 끝나는 대로 혼인신고”(전문)[MK★이슈] - MK스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정우성, 천만 꿈 이루나…‘서울의 봄’ 주말에만 120만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