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 지난해 영업이익이 최대 달성..올해도 실적 개선-DB

홍순빈 기자 2022. 1. 13. 08: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DB금융투자가 삼성전기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 목표주가를 27만원으로 유지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최대로 달성할 것으로 보이는데 실적 개선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서다.

13일 권성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삼성전기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직전해 동기 대비 26.6% 상승한 3199억원으로 추정했다.

이는 시장 예상 전망치(컨센서스)인 3820억원을 하회할 것이나 최고 실적 달성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것으라고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DB금융투자가 삼성전기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 목표주가를 27만원으로 유지했다. 지난해 영업이익이 최대로 달성할 것으로 보이는데 실적 개선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서다.

13일 권성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삼성전기의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은 직전해 동기 대비 26.6% 상승한 3199억원으로 추정했다. 이는 시장 예상 전망치(컨센서스)인 3820억원을 하회할 것이나 최고 실적 달성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것으라고 했다.

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에 일회성 비용이 없었다면 당초 기대치 이상도 가능했다"며 "통상 4분기에 발생하는 부품 재고조정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사업부별 매출액이 3분기 대비 하락했으나 제품믹스 개선으로 일회성 비용 제외 시 수익성은 예상만큼 좋았다"고 했다.

이어 "중국 스마트폰 고객의 주문 감소로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매출액은 10% 남짓 감소했으나 카메라모듈은 갤럭시S22용 선행 생산으로 기대보다 매출이 나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권 연구원은 연간 영업이익(영업이익률)을 2021년 1조4480억원(14.5%), 2022년 1조6680억원(15.7%), 2023년 1조9580억원(17.1%)으로 추정했다. 주가수익배수(PER)도 2021년 14.3배, 2022년 11.2배, 2022년 9.6배로 내다봤다.

그는 "계속적으로 두자리 수 이익 증가세가 나오며, 진정한 전자 부품이라고 할 수 있는 MLCC와 패키지 기판은 전방산업과 업황이 계속 뻗어나가고 있다"며 "내년 PER은 11.2배로 역대 최저 수준에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상간녀 논란' 황보미 측 "아내에 사과…결혼 속인 男에 소송""성행위 비롯해 원하는 걸 다 해준다"…이모부와 노예 계약한 조카산이, 노래 한 곡 저작권료만 한 달에 2억…박명수 "난 150만원"음원 사재기·광고비 150억 요구…영탁, 팔로워 '뚝뚝''솔로지옥' 송지아, 착시 부르는 '766만원' 란제리룩
홍순빈 기자 biniho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