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방역패스/전경하 논설위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주말 미용실에 갔다가 방역패스를 두고 실랑이하는 것을 봤다.
휴대전화가 없다, 동네 사람이니 해 달라는 어르신에게 미용실 직원은 방역패스가 없으면 과태료를 낸다, 해 주고 싶어도 본사에서 QR코드 안 찍으면 못 하게 한다며 맞섰다.
집에 돌아와 확인해 보니 정부가 지난달 말 사회적 거리두기를 16일까지 2주 연장한다면서 발표한 방역패스 적용 시설에 미용실은 없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주말 미용실에 갔다가 방역패스를 두고 실랑이하는 것을 봤다. 중년 남성이 80대로 보이는 부모를 모시고 왔다. 본인은 QR코드를 찍었지만 머리 손질하러 온 두 어르신은 못 찍었다. 휴대전화가 없다, 동네 사람이니 해 달라는 어르신에게 미용실 직원은 방역패스가 없으면 과태료를 낸다, 해 주고 싶어도 본사에서 QR코드 안 찍으면 못 하게 한다며 맞섰다. 결국 두 분은 머리를 자르지 못하고 갔다.
어디든 OR코드 찍고 들어가는 강제적 습관에 의문을 품지 않았으나 궁금해졌다. 집에 돌아와 확인해 보니 정부가 지난달 말 사회적 거리두기를 16일까지 2주 연장한다면서 발표한 방역패스 적용 시설에 미용실은 없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미용실을 방역시설로 지정한 건가, 아니면 미용실이 선제적으로 방역패스를 실시하는 걸까.
두 어르신이 머리 손질을 받을 미용실이 어딘가 있으리라 믿는다. 방역패스가 필요한 것은 알겠는데 모든 시설이 앞장서서 의무화를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전경하 논설위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누군가 잘라”vs“넘어져”…20대女 ‘클럽 귀절단’ CCTV는
- 속옷까지 물려받는 노르웨이 軍…“구멍나도 버틴다”
- “주방서 담배 뻑뻑”…롯데리아 알바생 흡연 영상 논란
- “흉기 들고 거리 배회하는 男”…관악구 좀비 사건의 전말
- 심야 검은옷 입고 도로 누운 사람 친 운전자, 무죄에서 ‘벌금형’으로
- 불쌍한 척한 10대 공갈범, 밖에선 낄낄…“초범? 용서 못해”
- 10만명 동의하면 대입제도 검토? 국가교육위원회 ‘혼란’ 예고
- 불난 아파트서 이불로 사람 받아낸 시민영웅들
- “백신 맞고 같이 떡볶이 먹자”…논란된 교육부 웹툰
- “탈출했다 끌려와” 7층서 추락…분양 합숙소서 무슨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