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37만명 증가했지만 취포자도 급증.. '고용의 질' 악화

은진 입력 2022. 1. 12. 19: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37만명 가량 늘며 수치상으로는 '고용한파'에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20년 취업자 수가 급감한 데 따른 기저효과를 걷어내면 고용률 등 일자리 지표는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밑돌았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1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727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36만9000명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통계청 '2021년 연간 고용동향'
2020년 취업자 급감 기저효과
3040 취업자 수는 지속 감소세
'쉬었음' 인구 239만8000명
연간 취업자 및 고용률 <자료:통계청>

지난해 취업자 수가 전년 대비 37만명 가량 늘며 수치상으로는 '고용한파'에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2020년 취업자 수가 급감한 데 따른 기저효과를 걷어내면 고용률 등 일자리 지표는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밑돌았다. 단기일자리가 급증했고 경제활동 '중추'인 30·40대 취업자 수가 지속 감소하는 등 일자리의 '질'도 나빠졌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1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727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36만9000명 증가했다. 증가폭만 보면 2014년 이후 7년 만에 최대로 늘어난 것이다. 연간 취업자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크게 줄어든 2020년의 기저효과 영향이 컸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2020년도가 코로나19 때문에 굉장히 많이 어려운 모양새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저효과가 있었고, 2021년 들어 보건·복지업이나 비대면·디지털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고용회복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코로나19 위기 이전 고점(2020년 2월)과 비교해 100.2% 회복했다"고 자화자찬했지만, 기저효과를 제외하면 고용지표는 아직 완전한 회복세라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해 연간 고용률은 60.5%로 전년(60.1%)보다는 증가했지만, 2019년 60.9%, 2018년 60.7%, 2017년 60.8% 등 코로나19 이전에는 못미치는 수치였다. 지난해 62.8%였던 경제활동 참가율 역시 2019년 63.3%, 2018년 63.1% 2017년 63.2% 보다 낮았다.

근로시간이 적은 초단기 일자리도 늘어났다. 지난해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8.9시간으로 전년 대비 0.1시간 감소했다.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2007만8000명으로 3만4000명 줄었지만,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75만명 급증한 670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취업시간이 17시간 미만인 초단기 근로자는 지난해 25만1000명이나 늘었다.

경제 허리인 30대와 40대 취업자 수는 계속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30대와 40대 취업자는 각각 10만7000명, 3만5000명 감소했다. 30대는 2013년부터 9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40대도 2015년부터 감소세다.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인해 직격탄을 맞은 대면서비스업은 고용 회복과 거리가 멀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4만7000명 감소했다. 2020년 15만9000명 감소한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다. 도·소매업 취업자 역시 15만명 급감하며 2017년 이후 4년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비임금근로자 취업자 수는 지난해 5만3000명 줄어 4년 연속 감소했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4만7000명 증가했으나,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는 6만5000명 줄었다.

고용 한파가 길어지면서 구직을 포기하는 사람들도 늘었다.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 인구는 2만4000명 증가한 239만8000명으로 나타났다. 쉬었음 인구란 일할 능력이 있지만, 병원 치료나 육아, 가사 등 구체적인 이유 없이 막연히 쉬고 싶어서 일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취업을 희망하지만,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구직단념자는 전년 대비 2만3000명 늘어난 62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은진기자 jineun@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