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러코스터' 20대 표심 대선판도 동시에 요동

장혜진 2022. 1. 12. 18: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두 달이 채 남지 않았지만, 여전히 '안갯속'인 20대 대통령 선거가 '20대 표심'의 향방에 출렁이고 있다.

특히 12일 발표된 여론조사에서는 20대와 남성 유권자들의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 결집 현상이 나타나면서 '세대 간 대결'에 더해 '젠더 대결'로까지 확대되는 양상이다.

윤 후보는 그간 연령별 조사에서 기존 보수정당 지지층인 60세 이상(50.3%)의 전폭적 지지를 받아왔지만 20대의 지지를 추가로 얻게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대남' 마음 돌린 尹, 지지율 반등
李 36.9% 尹 39.2%.. 오차범위 접전
세대 이어 젠더갈등까지 확대 양상
尹·安 단일화 땐 누구든 李에 앞서
두 달이 채 남지 않았지만, 여전히 ‘안갯속’인 20대 대통령 선거가 ‘20대 표심’의 향방에 출렁이고 있다. 특히 12일 발표된 여론조사에서는 20대와 남성 유권자들의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 결집 현상이 나타나면서 ‘세대 간 대결’에 더해 ‘젠더 대결’로까지 확대되는 양상이다. 국민의힘은 ‘20대 남성 표 결집’ 현상에 고무된 분위기지만, 20대를 제외한 다른 연령대에서 전반적인 지지율 하락세를 나타낸 점은 과제로 남았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 10∼11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11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이날 발표한 차기 대선 다자대결 조사에서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는 39.2%를 기록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36.9%)와 오차 범위(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 내 접전을 벌였다. 최근 상승세를 보이며 ‘3자 구도’를 구축해나가고 있는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는 12.2%의 지지를 받았다. 3주 전 같은 조사에서는 이 후보가 37.0%, 윤 후보 40.1%, 안 후보가 4.2%를 각각 받았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것은 그간 무주공산이었던 20대(만18∼29세)와 남성 지지율의 추이다. 20대 윤 후보 지지율은 41.3%로 집계됐다. 3주 전 같은 조사에서 받은 31.7%보다 10%포인트가량 껑충 뛴 것이다. 윤 후보는 20대 조사에서 이 후보(19.7%), 안 후보(21.3%) 등 경쟁 주자를 두 배가량 앞질렀다. 윤 후보는 그간 연령별 조사에서 기존 보수정당 지지층인 60세 이상(50.3%)의 전폭적 지지를 받아왔지만 20대의 지지를 추가로 얻게됐다. 윤 후보는 남성 지지율에서도 44.3%를 얻어 이 후보(36.4%), 안 후보(11.2%) 등 경쟁 주자에 앞섰다. 최근 이준석 당 대표와 당내 분란 등으로 지지율 하락의 늪에 빠졌던 윤 후보로서는 ‘여성가족부 폐지’ 등의 전략적 공약으로 지지율 반등의 기회를 잡게 된 셈이다.

다만, 20대를 제외한 다른 연령대에서 전반적인 지지율 하락세(30대 35.0%→28.9%, 40대 29.8→26.0%, 50대 42.3→40.9, 60세 이상 52.6→50.3)를 보인 점은 국민의힘으로서는 고민되는 대목이다. 20대 남성 표심을 의식하면서 여가부 폐지 등 공약을 내걸었는데 되레 다른 연령대에서 하락한 형국이다.

한편 이날 조사에서는 윤 후보와 안 후보가 단일화해 출마할 경우 누가 나와도 이 후보를 이길 것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왔다. 윤 후보는 야권 단일후보로 나올 경우 43.6%, 이 후보는 38.6% 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 후보가 단일후보로 나올 경우는 42.3%, 이 후보는 33.2%였다. 단일후보에 적합한 인물로 안 후보라는 응답은 39.6%, 윤 후보라는 응답은 35.6%로 오차범위 내에서 안 후보가 높게 나타났다.

장혜진·최형창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