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탄소중립 추진전략'.."2050년까지 농식품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38% 감축에 앞장"

윤종열 기자 2022. 1. 12. 15: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두호 농촌진흥청 차장이 12일 '2050 탄소중립 실현 농업기술 개발과 현장보급 추진전략' 에 대한 정책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제공=농진청
[서울경제]

농촌진흥청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저탄소 농업기술 개발 확대와 농경지를 이용한 온실가스 흡수 기능 강화 등 농축산 분야 탄소중립 전략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농진청은 12일 이런 내용이 담긴 ‘2050 탄소중립 실현 농업기술 개발과 현장보급 추진전략‘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진 전략은 앞서 농림축산식품부가 수립한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해 12월 2050년까지 농식품 분야 온실가스 배출량 38% 감축(2018년 2,470만 톤 대비) 목표를 세우고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농진청은 ’2050 탄소중립 실현 농업기술 개발과 현장보급 추진전략‘의 4대 중점 분야로 온실가스 정보에 대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통계자료 구축,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저탄소 농업기술 개발 확대, 농경지를 이용한 온실가스 흡수 기능 강화, 개발된 기술의 현장 확산을 선정했다.

◇온실가스 배출 통계 정확도 향상·통계자료 구축= 농진청은 온실가스 통계의 정확성을 향상하기 위해 우리나라 농업생산 환경을 반영한 국가고유계수를 2021년 34종(경종 28, 축산 6)에서 2050년까지 64종으로 확대한다.

온실가스 배출 통계 및 산정방식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하여 온실가스 감축을 이행하고 평가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농축산 분야 주요 감축 수단인 가축 장내 발효, 논물 얕게 걸러대기 등의 메탄 배출계수를 추가로 개발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활용한다. 친환경농법인 무경운, 풋거름작물 재배, 돌려짓기(윤작)을 실천했을 때 농경지에 저장되는 탄소 축적계수를 개발하여 온실가스 흡수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필요한 통계자료를 확충하고, 데이터를 표준화하여 농림축산식품부, 지방자치단체에서 탄소중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플랫폼을 2027년까지 구축한다.

◇저탄소 농업·축산·에너지기술 개발 확대= 농업부문에서는 농업디지털 기술과 연계한 논물 관리기술 현장 확산, 화학비료를 줄이기 위해 적정 비료사용 기준을 설정하고, 저탄소 유기농 기술의 현장 실용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

벼 중간물떼기 기간 연장(1∼2주 → 2주 이상)과 논물 얕게 걸러대기 효과를 분석하고, 영농 현장 보급을 확대(면적 0% → 10)한다. 이를 통해 논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감축하고, 벼 재배농법 디지털화를 통해 체계적인 물관리 기반을 구축한다.

질소비료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적정 비료 사용기준 설정 작물을 확대(2025년 246 작물)하고, 영농 현장 활용을 위한 기술지원을 강화한다.

화학비료 대체 가능한 녹비작물 선발과 수입 유박 대체 국내 유기자원을 활용하고, 화학비료를 적게 주고도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벼 품종인 ‘그린라이스’를 개발, 보급하여 환경친화적 농업을 확산한다.

축산 부문에서는 탄소배출 최소화를 위한 가축분뇨 자원순환 기술을 개발하여 현장에 확산하고, 국산 메탄 저감제 개발, 저단백질 사료 급여 기술,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과학적 정밀 사양관리 기술 보급을 확대한다. 가축분뇨를 활용하여 고체연료 펠렛과 수소, 일산화탄소의 혼합가스인 합성가스를 만들어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화를 촉진한다.

한우, 젖소 등 반추 가축의 소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줄이기 위해 민간과 협력해 메탄 발생 저감 사료를 개발하고, 2025년에는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온실가스 배출량과 사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우 사육 기간을 31개월에서 3개월 단축한 기술을 보완하여 축산 현장에 확대 보급한다.

축종별 영양소 및 사료 급여 조절을 통한 저탄소 사양기술을 개발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스마트 축사 확대 등 저탄소 가축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의 농업적 이용 확대와 에너지 효율을 향상하고, 고효율 에너지기술 실용화를 통한 보급을 확대한다.

태양광·열, 지열 등 복합 열원을 이용한 농업용 냉난방 시스템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한다. 배출 양액, 바이오가스 등 농업부산물을 이용해 수소 에너지를 생산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연구를 추진한다.

◇농경지 온실가스 흡수 기능 강화= 농진청은 바이오차 투입과 피복작물 재배 등을 통해 토양의 탄소 저장 능력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과수 바이오매스 등 신규 흡수원을 발굴해 적용하는 등 농경지 온실가스 흡수 기능을 강화한다.

바이오차는 목재, 왕겨 등을 고온에서 산소 없이 열분해하여 숯 형태로 만든 물질로, 농진청은 바이오차의 토양개량제로써 효과를 검증하고 적정 사용기준을 마련하여 농경지에서의 활용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유기물, 무경운, 동계 피복작물 등 영농 기술별로 토양의 탄소 저장능력과 경제적, 환경적 가치를 평가해 저탄소 농법의 효과를 현장에 확산한다.

농경지 탄소저장을 위한 실천 지침서(매뉴얼)도 개발하여 지방자치단체나 현장에서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참여도가 높은 농가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과수나무의 탄소 흡수량을 평가하여 농업 분야에서 새로운 탄소 흡수원으로 활용하고, 시설원예에서 이산화탄소 이용 확대 및 현장 활용을 추진한다.

◇탄소 저감 기술 현장 확산= 농진청은 ’중앙-지방-민간협력‘을 통해 저탄소 농업기술을 농업 현장에 확산시키고, 자발적 탄소중립 실천 운동을 전개하면서 교육과 인식 확산도 강화한다.

논물관리, 바이오차 활용 등 이미 개발된 감축기술을 시범사업과 연계하고, 감축기술의 현장 실증 사업도 확대할 계획이다.

연구 성과가 현장에 조기 확산될 수 있도록 농촌진흥청-실용화재단-지방농촌진흥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우수한 민간 기술에 대한 사업화를 추진한다.

지방자치단체-농업인 단체와 함께 탄소감축을 위한 ’3고(올리고, 내리고, 유지하고) 실천 운동‘을 전개한다. 농업인에게 기술정보를 제공하고, 도원 시군 센터 연구, 지도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전문인력을 양성해 인식확산에 나선다.

박병홍 농촌진흥청장은 “탄소중립은 농업 전반에 대전환을 요구하는 도전적인 과제이지만 꼭 실행되어야 한다. 특히 농업은 탄소 배출원이자 흡수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농진청은 탄소중립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기 위해 2022년에 268억 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했고, 매년 투자를 늘리는 한편, 탄소중립 연구 인력도 지속적으로 확충하여 농축산 분야 탄소중립이 실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윤종열 기자 yjyun@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