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세종수목원에 공진화 모델  '다윈난' 꽃 만개

최두선 2022. 1. 12. 14: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립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 내 열대온실에 공진화(共進化)의 대표적 모델로 꼽히는 다윈난(Angraecum sesquipedale Thouars) 꽃이 만개했다.

다윈은 이 난을 발견하고 공진화의 연관성으로 30cm 정도의 꿀주머니에 있는 꿀을 먹을 수 있는 곤충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세종수목원 관계자는 "개화한 다윈난은 사계절전시온실 내 열대온실 입구에서 2주 가량 만나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일 국립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 내 열대온실을 찾은 한 관람객이 활짝 핀 다윈난 꽃을 휴대폰 카메라로 찍고 있다. 국립세종수목원 제공

국립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 내 열대온실에 공진화(共進化)의 대표적 모델로 꼽히는 다윈난(Angraecum sesquipedale Thouars) 꽃이 만개했다. 공진화는 두 생물 종이 서로 적응하고 진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다윈난은 동쪽 마다가스카르섬이 원산지로, 바위나 수목 수피에 착생해 자란다. 영국의 생물학자 찰스 다윈이 발견하고, 그의 진화론 연구에도 단서를 제공해 이런 명칭이 붙었다.

다윈은 이 난을 발견하고 공진화의 연관성으로 30cm 정도의 꿀주머니에 있는 꿀을 먹을 수 있는 곤충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 다윈의 이런 추정대로 그의 사후 41년 뒤 20cm 이상의 긴 주둥이를 가진 나방이 마다가스카르에서 발견됐다.

세종수목원 관계자는 "개화한 다윈난은 사계절전시온실 내 열대온실 입구에서 2주 가량 만나볼 수 있다"고 말했다.

최두선 기자 balanced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