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새 시가총액 100대 기업 '지각변동'..1조 클럽은 54곳↑

최영지 2022. 1. 12. 11: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1년간 시가총액 100대 기업의 순위가 빠르게 뒤바뀌며 주식시장 판도가 요동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업 54곳이 올해 시가총액 1조원을 넘겨 '1조 클럽'에 진입하는가 하면 기업 20곳은 작년과 달리 시가총액 100대 기업에서 탈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작년 초 상위 100대 기업의 시가총액 규모는 1920조원 수준이었다면, 올해 같은 기간 규모는 2188조원 상당으로 1년 사이에 205조원(10.8%)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CXO연구소, 작년 대비 올해 초 시총 순위 발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부동의 1,2위
셀트리온 6→11위..카카오뱅크 TOP10 진입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최근 1년간 시가총액 100대 기업의 순위가 빠르게 뒤바뀌며 주식시장 판도가 요동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업 54곳이 올해 시가총액 1조원을 넘겨 ‘1조 클럽’에 진입하는가 하면 기업 20곳은 작년과 달리 시가총액 100대 기업에서 탈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12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21년 대비 2022년 각 연초 시가총액 순위 및 금액 변동 현황을 분석해 이같이 조사했다. 지난해 1월4일과 이번 달 3일 보통주 종가를 기준으로 한 시가총액을 토대로 조사했고, 우선주는 조사대상에서 제외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연초(1월4일) 기준 국내 주식시장에 시가총액 규모가 1조원이 넘는 곳은 234곳이었고, 올해 초에 288곳으로 증가했다. 1년 새 시가총액 ‘1조 클럽’ 숫자가 54곳 늘어난 것이다. 이중 작년과 올해 초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을 비교하면 이 규모는 200조원 넘게 차이를 보였다. 작년 초 상위 100대 기업의 시가총액 규모는 1920조원 수준이었다면, 올해 같은 기간 규모는 2188조원 상당으로 1년 사이에 205조원(10.8%) 증가했다.

시가총액 덩치는 최근 1년새 커졌지만 주식종목 간 희비는 교차했다. 특히 시가총액 상위 100대 기업 가운데 삼성전자(005930), SK하이닉스(000660) 등 5곳을 제외한 95곳에서 순위 변동이 일어났다.

100곳 중 20곳은 올해 시가총액 TOP 100에서 탈락하는 순위 변동이 있었다.

자료=한국CXO연구소
시가총액 상위 TOP 10에서도 자리다툼은 치열했다. 지난해 연초 대비 올해 초 시가총액 상위 10대 기업 중 6곳이나 순위가 변동됐다. 삼성전자(1위), SK하이닉스(2위)와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4위), 삼성SDI(006400)(7위)의 경우 작년과 올해 초 순위가 달라지지 않았다. 반면 지난해 1월 초 시가총액 순위 6위를 유지했던 셀트리온(068270)은 올해 연초 11위로 뒷걸음질 쳤다. 현대모비스도 같은 기간 10위에서 13위로 후진했다. LG화학(051910)은 작년 초만해도 시총 3위였는데 올해는 8위로 5계단이나 내려앉았다.

지난해 8월 상장한 카카오뱅크(323410)는 TOP 10에 올해 새롭게 진입했다. 네이버(035420)는 작년 초 기준 시가총액 5위에서 올해는 3위로 2계단 전진했다. 현대차(005380)도 같은 기간 8위에서 6위로 앞섰고, 카카오(035720) 역시 9위에서 5위로 4계단이나 전진했다.

한편, 이번 조사와 별도로 올해 초반 국내 주식시장은 주식종목에 따라 시가총액 증감 희비가 엇갈린 양상을 띠었다. 먼저 카카오는 올해 초 시가총액 51조원대에서 출발했으나 11일 42조원대로 크게 내려앉았다. 올해 거래일이 열흘도 지나지 않았지만 8조원 넘는 시가총액이 증발했다.

이와 달리 LG화학(051910)은 8조원 넘게 시가총액이 증가했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지난해에는 신규 상장된 주식종목 중 시총 상위권을 꿰찬 경우가 많았는데 올해도 이런 흐름을 이어갈 공산이 크다”며 “올해 초반 주식시장은 복합적인 요인 등으로 1분기에는 다소 약세 흐름을 보이다가 3월에 치러질 대선을 기점으로 분위기가 반전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차기 대통령이 주력하는 산업, 정책에 따라 업종 간 희비도 크게 교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영지 (you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