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한 조선 사대부 일생..회화 '평생도' 디지털 복원

박상현 2022. 1. 12. 09: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시대 회화 중에 '평생도'라는 작품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9세기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평생도 8폭 병풍을 디지털 기술로 복원한 콘텐츠 '조선 사람들의 꿈, 평생도'를 누리집 온라인 전시관에서 공개했다고 12일 밝혔다.

국립중앙박물관은 평생도 디지털 콘텐츠를 7개국 한국문화원 누리집에서 공개하고, 상설전시관 실감영상관에서도 선보일 계획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온라인 전시관'서 공개
국립중앙박물관 평생도 왼쪽부터 1폭 원본과 디지털 복원본, 2폭 원본과 디지털 복원본.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조선시대 회화 중에 '평생도'라는 작품이 있다. 종이 8∼12장에 돌잔치, 혼례식, 과거 급제, 정승 취임, 회혼례(결혼 60주년 기념식) 등 삶의 경사스러운 순간을 담았다.

평생도 속 주인공은 실존 인물이 아니었다. 하지만 조선시대 사람들은 성공한 사대부의 일생을 그린 그림을 보며 가정이 화목하고 사회생활이 순탄하기를 기원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9세기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평생도 8폭 병풍을 디지털 기술로 복원한 콘텐츠 '조선 사람들의 꿈, 평생도'를 누리집 온라인 전시관에서 공개했다고 12일 밝혔다.

박물관 소장품인 평생도는 보존 상태가 좋지 않아 곳곳이 훼손됐다. 박물관은 회화를 물리적으로 보존처리하는 대신 디지털 기술로 떨어져 나간 부분을 복원했다. 변색하고 오염된 부분은 본래 색상으로 되돌렸다.

온라인 전시관에서는 복원 전후 그림을 비교해 살피고, 특정 부분을 확대해 감상할 수 있다. 평생도에 관한 상세한 설명과 역사·학술 정보도 읽어볼 수 있다. 설명은 한국어와 영어, 프랑스어 등으로 제공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평생도 디지털 콘텐츠를 7개국 한국문화원 누리집에서 공개하고, 상설전시관 실감영상관에서도 선보일 계획이다. 또 해외에서 전시할 미디어 병풍도 개발할 방침이다.

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는 "동아시아에 부처나 공자 같은 위대한 인물의 일대기를 담은 미술 작품은 있지만, 상류층 인물의 일생을 여러 장면으로 그린 예는 한국에서만 확인된다"며 "현재 전하는 평생도들은 19세기부터 20세기 초반 사이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해외에서 전시하기 어려웠던 우리 회화 문화재를 외국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sh59@yna.co.kr

☞ 지뢰 100개 찾아낸 대형쥐의 죽음…"진정한 영웅이었다"
☞ 강남 클럽서 20대 여성 귀 잘린 채 발견…경찰 내사
☞ 롯데리아 알바생, 주방 흡연영상 SNS 올렸다가 삭제
☞ 헬리콥터 기적의 불시착…주택가서 두동강 났는데…
☞ 순회공연 중 호텔 객실서…한 코미디언의 쓸쓸한 죽음
☞ 일본, 선진국서 탈락하나…1인당 GDP OECD 평균 아래로
☞ 우회전 '무심코' 했다간 범칙금에 보험료 할증
☞ 아내살해 의혹 갑부 복역 중 사망…진실은 수면 아래로
☞ "물 들어간 줄…" 병원 갔더니 귓 속에서 바퀴벌레가…
☞ "영탁이 150억원 요구" 예천양조 불송치…영탁 반발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