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월 만에 또 현대산업개발..안전관리능력 도마위에

박연신 기자 2022. 1. 12. 07:48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1일 발생한 광주 서구 화정동 고층 주상복합아파트 신축 공사장 외벽 붕괴 사고의 시공사가 지난해 6월 17명의 사상자를 낸 광주 학동4구역 재개발 철거 작업 붕괴 현장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로 확인되면서 이 건설사에 대한 비난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정몽규 HDC현대산업개발 회장은 지난해 6월 재개발 철거현장 붕괴 사고 이후 광주 현장을 직접 찾아 "무거운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고 사과하며 재발방지 대책 수립을 약속한 바 있습니다. 

현대산업개발은 이에 지난해 건설현장 근로자가 급박한 위험이 아니더라도 작업중지권을 적극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고 발생 원인과 위험 통제 모니터링을 하나의 시스템을 연결한 스마트 안전보건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하는 등의 안전관리 강화 대책도 내놨습니다. .

그러나 불과 7개월 만에 또다시 대형 사고가 발생하면서 회사의 안전관리 시스템 전반에 문제가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공교롭게도 이날은 정부가 광주 재개발 현장 붕괴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마련한 건축물 관리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날이어서 법안의 취지가 무색해졌다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또 건설 현장의 안전 불감증이 여전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현대산업개발 사고 직후 곧바로 유병규·하원기 대표이사 등 경영진을 포함한 본사 임직원을 현장으로 급파해 현장 수습과 원인 파악에 나섰습니다. 

회사 관계자는 "우선 급선무인 사고 수습에 총력을 기울이고, 향후 대책 마련에도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같은 건설사의 시공 현장에서 붕괴 사고가 재발하면서 여론의 반응은 싸늘합니다. 

건설업계는 이번 사고가 이달 27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발생한 것이어서 더욱 당혹해하고 있습니다. .

건설업계를 비롯한 산업계 일각에선 그간 정부가 마련한 중대재해법에 대해 처벌 대상이 모호하고 과도한 처벌로 기업에 부담을 가중할 수 있다며 반대입장을 표명해왔는데 잇단 사건 사고로 인해 반대의 명분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돈 세는 남자의 기업분석 '카운트머니' [네이버TV]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 I&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