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시설 들어서자 1km 반경 내 아파트 값 최대 7% 하락"
[경향신문]
물류시설이 들어선 지역의 아파트 가격이 최대 7%가량 하락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1일 서울대 환경대학원 연구진이 지난달 학술지 국토연구에 게재한 ‘물류시설이 인근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기도 동남권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의 논문을 보면, 경기 동남권의 광주·용인·이천에 들어선 물류시설 인근 아파트의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물류시설 1㎞ 반경 내의 아파트 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이 지역에 2012~2019년 들어선 물류시설 81곳의 3㎞ 반경 내 아파트 991곳의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물류시설과 1.25㎞ 이상 떨어진 아파트 가격은 상승한 반면 인접 아파트의 가격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리별로 보면 물류시설로부터 250m 이내인 아파트는 외부 지역의 아파트보다 7.23% 하락했다. 또 500m 이내의 아파트 가격은 5.16%, 750m 내 아파트는 5.45%, 1000m 내 아파트는 2.8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물류시설이 입지함으로써 주변 주택 가격이 하락했으며 물류시설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하락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의미하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해외에서는 물류시설로 인한 대기오염, 소음, 혼잡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경관 훼손, 지역 경제 및 고용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해 다양한 연구가 이뤄졌지만 국내에선 아직까지 드물다. 연구진에 따르면 프랑스 파리에서는 물류시설의 무분별한 확산으로 운송량이 증가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했다. 일본 도쿄에서는 물류시설의 무분별한 공간적 확산이 지역사회에 끼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됐다.
국내의 경우 물류센터 조성이 추진되고 있거나 이미 조성된 지역들에서 물류 배송 차량으로 인한 교통사고 위험, 환경 오염, 소음, 경관 훼손 등의 문제로 인해 주민들이 반발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경기 의정부 도봉차량기지 물류센터 조성은 지자체와 주민 반대, 예산 확보 실패 등으로 무산됐다. 2018년에는 신세계그룹이 경기 하남 미사지구에 추진하던 물류센터 건립이 교통 체증과 소음 등을 우려한 주민들의 반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바람난 아빠가 죽었다, 내연녀에게 줄 위자료 남기고
- “병가 한 번만 줬어도…” 20대 청년 앗아간 ‘아파도 출근’
- ‘하시4’ 측 “김지민, 노출 BJ 사실 아냐…악의적 캡처”
- 우크라 보안국, “댐 폭파 ‘러 소행’ 증거” 도청 파일 공개
- 싱하이밍 “미국도 물밑에선 실익 챙기는데, 한국 정부 안타깝다”
- “이정재 누웠던 침대에 누워보라”···에이스침대, 내부고발에 3년째 ‘입막음’
- 권도형 몬테네그로 체포 직후 378억 인출
- 이채익 “우크라이나 6·25 참전국인데”···김병주 “당시 소련이었다”
- “옆집 이사오더니 대박났어요”…이웃 낙수효과 엄청 나네
- 발목뼈 뚫고 나왔는데 소량의 혈흔…아내를 죽인건 남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