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소방본부, 2021년 8만 9천여 건 출동

광주CBS 박요진 기자 2022. 1. 11. 16: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는 2021년 119신고 30만5249건이 접수됐고, 화재 743건, 구조 5237건, 구급 7만142건 등 8만9132건을 현장 출동했다고 11일 밝혔다.

시 소방안전본부가 지난해 소방활동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20년 대비 화재 및 인명피해는 각각 15.8%, 15.6% 감소했고, 구조활동 6.0% 감소, 구급활동은 8.5% 증가, 생활안전활동은 9.2% 증가, 119신고 접수 건수는 5.0%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이미지 제공

주광역시 소방안전본부는 2021년 119신고 30만5249건이 접수됐고, 화재 743건, 구조 5237건, 구급 7만142건 등 8만9132건을 현장 출동했다고 11일 밝혔다.

시 소방안전본부가 지난해 소방활동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20년 대비 화재 및 인명피해는 각각 15.8%, 15.6% 감소했고, 구조활동 6.0% 감소, 구급활동은 8.5% 증가, 생활안전활동은 9.2% 증가, 119신고 접수 건수는 5.0% 증가했다.

화재는 총 743건으로 하루 평균 2건 발생했으며 인명피해는 27명으로 2020년 32명 대비 15.6% 감소했다. 재산피해는 201억9800여만원으로 전년도 33억1500여만원 대비 509% 증가한 수치다.

화재발생 건수가 감소한 요인으로는 지속적인 소방홍보 및 예방교육을 통해 부주의 요인에 의한 화재가 130건(26%) 감소했지만, 광주시 산업단지 내 화재 발생으로 재산피해는 크게 증가했다.

화재발생 장소는 음식점, 산업시설 등 비주거 장소가 316건(42.5%)으로 가장 많았으며, 원인별로는 부주의 370건(49.8%), 전기적요인 199건(26.8%), 기계적요인 80건(10.8%) 순으로 집계됐다. 구조출동은 총 5237건으로 하루 평균 14.4건의 구조활동을 했으며 2020년 대비 6.0% 감소했다.

구조 유형별로 살펴보면 화재 1829건(34.9%), 교통사고 1228건(23.4%), 승강기사고 846건(16.2%) 순으로 분석됐으며, 2020년에 비해 집중호우 및 태풍피해가 적어 수난사고 81.5%(313건), 자연재난이 550건(81.6%) 감소했다.

구급출동은 총 7만142건으로 하루 평균 192건의 출동을 했으며 4만7679명의 환자를 이송했다. 환자 유형별로는 질병(통증, 의식저하 등) 3만2964명(69.1%), 사고 부상(추락, 낙상 등) 8756명(18.3%), 교통사고 4205명(8.8%)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관련 확진자 1675명, 고열과 기침 등 코로나19 의심환자 3733명, 학교 내 유증상 호소 및 해외입국자 등 416명으로 총 5846명을 병원과 격리시설에 이송했다. 생활안전출동은 총 1만3010건으로 하루 평균 35.6건의 출동을 했으며 2020년 대비 9.2% 증가했다. 매년 생활안전출동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광주소방안전본부 노점례 119종합상황실장은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소방의 사명을 되새기며 각종 사건·사고의 대응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24시간 빈 틈 없는 상황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광주소방안전본부는 소방청 주관 2021년도 전국 119재난상황관리 평가에서 광역시 중 1위(최우수 A등급)로 선정됐다.

광주CBS 박요진 기자 truth@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