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조선업, 작년 수주량 세계 2위

류태웅 2022. 1. 11. 14: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 조선업이 지난해 수주 세계 2위를 기록했다.

고부가가치 선박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경우 발주량의 87%를 싹쓸이했다.

11일 영국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작년 세계 선박 발주량 4664만CGT(표준선 환산톤수) 가운데 1744만CGT(403척, 37%)를 수주했다.

우리나라는 LNG 운반선과 1만2000TEU급 대형 컨테이너선의 경우 발주량 대비 87%, 49%를 수주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 현대중공업 제공]

우리나라 조선업이 지난해 수주 세계 2위를 기록했다. 고부가가치 선박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의 경우 발주량의 87%를 싹쓸이했다.

11일 영국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작년 세계 선박 발주량 4664만CGT(표준선 환산톤수) 가운데 1744만CGT(403척, 37%)를 수주했다. 2013년(1845만CGT) 이후 8년 만에 최대 수주량이다. 세계 발주량은 전년(2390만CGT) 대비 95% 늘며 2013년(6206만CGT) 이후 8년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국가별 수주량에서는 2286만CGT(927척, 49%)를 수주한 중국에 밀려 2위에 머물렀다. 일본은 413만CGT(198척, 9%)로 3위였다.

선종별로는 컨테이너선과 벌크선, 대형 LNG선, 아프라막스(A-max)급 유조선 발주가 늘었다. 1만2000TEU급 이상 컨테이너선과 벌크선은 각각 전년 대비 259%, 107% 늘어난 1120만CGT(188척), 263만CGT(80척)이 발주됐다. 대형 LNG선과 A-max급 유조선은 전년 대비 51%, 58% 증가한 647만CGT, 128만CGT가 발주됐다. 반면 초대형 유조선(VLCC)과 수에즈막스(S-max)급 유조선 발주량은 21%, 62% 줄었다.

우리나라는 LNG 운반선과 1만2000TEU급 대형 컨테이너선의 경우 발주량 대비 87%, 49%를 수주했다.

국가별 수주 잔량은 중국 3709만CGT, 한국 2939만CGT, 일본 923만CGT 순으로 집계됐다.

선가는 올랐다. 작년 말 클락슨 신조선가 지수는 2009년 5월(156.58포인트) 이후 최고치인 154.18포인트를 기록했다. 선종별로는 LNG선(17만4000㎥)이 1억8600만달러에서 2억1000만달러까지 상승하는 등 전체 선종에서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