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금리인상+양적긴축' 2017~19년 韓약세장 재현되나..다른 점은?

전민 기자 2022. 1. 11. 11:5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해들어 코스피 지수가 약세를 보이면서 기대했던 '1월 효과'는 자취를 감췄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조기 금리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에 더해 양적긴축(QT)도 조기에 시작할 것이라는 우려가 더해진 영향이다.

과거 연준이 금리인상과 양적긴축에 나섰던 시기엔 코스피 지수가 약세장에 진입했었다.

이어 "연준의 긴축에 대응해 당분간 보수적일 필요는 있지만 약세장이나 대세 하락장 진입을 미리 염두에 두는 비관론으로 바라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P500 20% 오를때 코스피 12% 하락..美中무역분쟁+반도체부진도 한몫
"현재 증시 여건이 나아..섣부른 비관론보단 高밸류 종목 회피로 대응"
10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가 전일 대비 0.95%(28.17포인트) 내린 2,926.72를 나타내고 있다. 2022.1.10/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서울=뉴스1) 전민 기자 = 새해들어 코스피 지수가 약세를 보이면서 기대했던 '1월 효과'는 자취를 감췄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조기 금리인상에 나설 수 있다는 전망에 더해 양적긴축(QT)도 조기에 시작할 것이라는 우려가 더해진 영향이다.

과거 연준이 금리인상과 양적긴축에 나섰던 시기엔 코스피 지수가 약세장에 진입했었다. 그렇다면 이번에도 이같은 흐름이 재현될까.

전문가들 사이에선 이번엔 조금 다를 것이라는 의견이 다수였다. 무턱대고 약세장 진입을 염두에 두기보다는 '금리인상+양적긴축' 국면에서 타격을 받을 수 있는 고밸류에이션 종목을 피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라고 조언했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과거 연준이 금리인상과 자산축소를 동시에 진행했던 시기는 2017년 10월부터 2019년 7월까지 약 1년9개월 간이었다. 연준은 연방기금금리를 연 1.25~1.5%에서 2.25~2.5%로 1%p 인상했고 대차대조표 축소를 진행해 시중에 풀었던 돈을 회수했다.

이 기간 코스피 지수는 12.3% 하락했다. 반면 S&P500은 20.2% 상승하면서 강세장을 이어갔다. 글로벌 유동성 축소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현상이 부각되면서 미국 증시는 오르고 신흥국 증시는 떨어지는 '디커플링'이 심화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시중 유동성이 축소되고 금리가 오르면 투자자들은 가장 먼저 위험자산의 비중을 줄일 수 밖에 없다. 이런 개념을 글로벌로 확대하면 위험자산인 주식 중에서도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 주식을 먼저 팔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준이 이번에 금리인상과 양적긴축을 연이어 시행하면 이같은 신흥국 증시 약세 현상이 다시 나타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다만 당시와 현재 한국 증시를 둘러싼 주변여건상 많은 차이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당시 코스피 약세장에는 미 연준의 금리인상과 양적긴축 뿐만 아니라 미·중 무역분쟁과 이로 인한 반도체 업황둔화 등도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다. 상장사들의 실적도 둔화됐다. 200조원대를 넘던 코스피 12개월 선행 영업익 전망치는 150조원으로 크게 줄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과거 연준이 금리인상과 양적긴축을 동시에 진행할 때 코스피의 하락폭이 컸던 이유는 미·중 무역분쟁의 직격탄을 한국 기업과 증시가 맞았고 이익 전망 자체도 상당히 취약했던 영향이 컸다"며 "하지만 현재는 당시보다 대외환경과 실적전망이 상대적으로 낫다"고 진단했다. 이어 "연준의 긴축에 대응해 당분간 보수적일 필요는 있지만 약세장이나 대세 하락장 진입을 미리 염두에 두는 비관론으로 바라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밝혔다.

증시 방향의 변화보다는 주도주 전환의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있었다. 특히 금리가 오르고 유동성이 축소되면 주가를 결정짓는 할인율도 높아지기 때문에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가격)이 지나치게 높은 성장주 등은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 따라서 미래 성장성에 대한 막연한 기대를 가진 종목보다는 가치주나 단기간내 실적 개선이 동반되는 성장주 위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진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경기 전망이 급격히 둔화되거나 유동성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밸류에이션 부담이 없는 기업을 중심으로 한 '스타일 로테이션'이 연장될 것"이라며 "국내 증시에서도 유동성의 정상화가 당장의 시장 리스크로 확산되지 않는다면 스타일의 변화, 즉 종목간의 밸류에이션 간극 축소가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또 "최근 유동성 논란에도 외국인의 급격한 이탈이 없는 점과 지수 부진 속 실적 개선 대형주들의 상대적 선전이 이어지고 있는 것도 이러한 배경으로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min785@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