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화재 1월이 최다..절반이 담배꽁초 등 부주의 탓

황윤정 2022. 1. 11.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5년간 서울에서 화재가 가장 자주 발생한 달은 1월인 것으로 집계됐다.

11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16∼2020년)간 서울시에서 발생한 화재는 모두 2만9천758건으로, 화재가 가장 자주 발생한 달은 1월(2천795건)이었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1월은 실내 전열 기구 사용 등으로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시기"라며 외출 시 전원을 차단하고 전열 기구를 사용할 때는 주변에 가연물을 두지 말 것을 당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 소방재난본부, 5년간 서울지역 화재·안전사고 분석
서울 화재 1월이 최다…절반이 담배꽁초 등 부주의 탓 (CG) ※ 기사와 직접 관계가 없는 자료사진입니다.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황윤정 기자 = 최근 5년간 서울에서 화재가 가장 자주 발생한 달은 1월인 것으로 집계됐다.

11일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2016∼2020년)간 서울시에서 발생한 화재는 모두 2만9천758건으로, 화재가 가장 자주 발생한 달은 1월(2천795건)이었다. 3월(2천652건), 5월(2천597건), 8월(2천583건)이 그 뒤를 이었다.

사망자를 포함해 인명피해도 1월이 185명(사망 35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11월 171명(사망 19명), 12월 148명(사망 22명), 3월 145명(사망 18명) 순이었다.

1월에 발생한 화재의 원인을 살펴보면 담배꽁초 방치(543건) 등 부주의로 인한 화재가 1천560건(55.8%)으로 가장 많았고, 전열기기 관련 화재(248건) 등 전기 화재(660건·23.6%)가 그 뒤를 이었다.

1월에 발생한 화재를 장소별로 살펴보면 주거시설이 1천105건(39.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생활서비스 시설(469건·16.8%), 판매·업무시설(316건·11.3%) 순이었다. 생활서비스 시설 중 음식점(302건) 화재와 판매·업무시설 중 숙박시설(36건) 화재는 일 년 중 1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1월은 실내 전열 기구 사용 등으로 화재가 많이 발생하는 시기"라며 외출 시 전원을 차단하고 전열 기구를 사용할 때는 주변에 가연물을 두지 말 것을 당부했다.

한편 최근 5년간 1월에 발생한 안전사고와 관련한 119 출동 건수는 5만965건이었다. 특히 교통사고(2천851건), 동파 피해(1천800건), 고드름 안전 조치(1천494건) 등 3가지 유형의 안전사고로 인한 119 출동 건수가 일 년 중 1월에 가장 많았다고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전했다.

담배꽁초 화재 (PG)

yunzhen@yna.co.kr

☞ 아내살해 의혹 갑부 복역 중 사망…진실은 수면 아래로
☞ '좀비 영화 심취' 흉기 들고 거리 나선 20대…여친이 신고
☞ 정용진, 신세계 보이콧 이미지 공유하며 "업무에 참고"
☞ 돼지심장 최초 인체 이식…사흘째 회복중
☞ 머리만 2m…1억8천만년 전 10m짜리 어룡화석 발견
☞ 김연경, 중국리그와 작별…향후 거취 주목
☞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직원 부친 유서 남기고 실종
☞ '중국인 폭행치사' 美 노숙자 "한국인에 강도당해" 변명
☞ 빚 압박에 일가족 극단 선택 시도, 4살 아기만 숨졌다
☞ "영탁이 150억 요구" 주장 예천양조 불송치…영탁 측 반발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