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窓]산업 성장기 인수합병을 생각하며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주) 대표이사 2022. 1. 11. 02: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바이오텍 비상장 및 상장사에 지분투자 형태로 얼마나 투자됐을까.

매해 수백 개 신규 창업이 이뤄지고 2조원 이상이 창업 및 성장기 단계에 투자되는 대한민국 바이오텍 생태계의 성장과 활력은 놀랍다.

그러면 투자규모 성장과 대비해서 인수·합병 활동이 전무하다시피 한 상황은 어떤 원인, 혹은 요인들에서 기인하는 것일까.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정규 대표

지난해 바이오텍 비상장 및 상장사에 지분투자 형태로 얼마나 투자됐을까. 여러 집계가 곧 나오겠지만 최소한 2조원은 넘을 것 같다. 전문적인 창업투자사 이외에 다양한 투자원을 고려한다면 충분히 넘을 것이다.

매해 수백 개 신규 창업이 이뤄지고 2조원 이상이 창업 및 성장기 단계에 투자되는 대한민국 바이오텍 생태계의 성장과 활력은 놀랍다.

지난해에도 코스닥에 기술성으로 상장한 기업 중 바이오가 총 17개사인데 신약 6개사, 진단 8개사, 기타 3개사라고 한다. 사실 미국에서 지난해에도 IPO를 통한 상장(SPAC 제외) 건수가 100여건이라고 하니 우리나라의 자본규모로 보면 IPO 비율이 그리 낮다고 할 수 없다.

창업기업들은 '가능성'으로 시작해 '기술 가능성의 단계적 실현'을 보여줘야 한다. 그와 함께 단계별 필요한 우수인력의 채용 또한 다음 단계의 자금조달에는 필수다.

그런데 바이오텍의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분야의 인력-기초과학, 생산관련, 임상개발, 사업개발, 규제과학 관련-풀은 꽤나 제한돼 있다.

한편 한국 자본시장-바이오텍들에는 코스닥 시장-은 그 규모가 또한 제한적이다.

초기기업들의 지속적인 공급, 비상장 투자자금의 견고한 공급과 함께 우리 제약·바이오섹터의 발전에 중요한 것이 인재풀 확대 및 적재적소 배치, 그리고 이들을 받아줄 엑시트 및 추가 자본조달의 방법으로서 코스닥 시장의 양적, 질적 확대·성장이다.

이런 점에서 앞으로는 인수·합병이 필연적인 화두라는 점에 의견을 달리하는 전문가들은 없는 것 같다. 그러면 투자규모 성장과 대비해서 인수·합병 활동이 전무하다시피 한 상황은 어떤 원인, 혹은 요인들에서 기인하는 것일까. 이를 파악하는 게 해결책을 찾는 첫걸음일 것이다.

미국 생태계에서 인수·합병과 (그리 흔하지는 않지만) 국내 생태계에서 인수·합병의 차이를 한번 살펴보는 것은 매우 도움이 된다. 가장 큰 차이는 부분인수와 전체인수(및 합병)다.

국내 대부분은 인수기업이 피인수기업의 대주주 지분을 인수함으로써 지배주주가 되는 형태다. 그 이후 피인수기업이 독자적인 IPO를 추구하는 경우가 또한 대부분이다. 결국 인수·합병을 통한 양사의 유기적 통합 및 상승효과 창출이라는 본연의 기능보다 대주주 지분인수를 통한 인수기업의 피인수기업 지배권 확보 및 추후 자본수익이라는 기능이 더 강하다.

미국에서는 인수기업이 피인수기업의 100% 지분을 인수하거나 혹은 합병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단일회사가 된다. 피인수기업의 인재들과 기술들이 인수기업에 완전히 흡수돼 인수기업의 체질을 바꾸고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다. 얀센의 센토코어 인수는 이 중 아주 유명한 사례다.

국내에서 이러한 지배주주의 지분 양수도라는 부분인수 형태의 인수·합병이 압도적으로 (사실 거의 대부분)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필자는 지분율을 중심으로 한 (지배주주 1인의) 지배권을 중시하는 전근대적 기업거버넌스 개념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한국 자본주의 성장과정의 결과물이지만 동시에 발전을 위해서는 개선돼야 할 점이다.

사실 인수·합병 활동이 왕성한 화이자와 같은 회사의 (개인으로서) 지배주주는 없고 연기금, 혹은 자산운용사와 같은 기관투자자들이 주요주주들이다. 아마도 이러한 모습이 자본시장의 적극적 지원을 받아 성장하는 한국 바이오텍들의 미래 모습 아닐까.

이러한 방향으로 가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과거 및 현재 제도와 인식들을 한번 자세히 보아야 한다. 인수·합병이 '먹튀'로 인식되지 않고 기업 성장의 또다른 적극적 대안이라는 인식을 가지며 활발한 인수·합병을 통해 기업 생태계의 신진대사가 이뤄지는 한국 생태계를 꿈꿔본다.

[관련기사]☞ '솔로지옥' 송지아, 볼륨 강조한 란제리룩…파격 의상도 '찰떡'한예슬, '10살 연하' 남친과 신혼집 구상?…"너무 좋아"8살 연상 남편의 실체 "22살 연상 재혼남…조카는 아들"강호동 14살 아들 퍼팅에 캐스터들 당황…"힘·유연성 다 갖춰"'연봉 237억' 김병현, 재산상태 어떻길래…존리 "당신 최악"
이정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주) 대표이사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