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진 대선 캠페인..쇼츠·밈으로 '생활형 공약' 제시

화강윤 기자 2022. 1. 11. 01: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런 '멸공' 논란은 최근 대통령 선거 캠페인 양상이 SNS 중심으로 달라진 것과도 그 맥이 닿아있습니다.

젊은 세대에게 익숙한 SNS 공간을 통해 거대 담론보다는 주로 생활 밀착형 공약을 후보마다 내놓고 있는데, 그 배경을 화강윤 기자가 짚어 봤습니다.

[김헌식/대중문화 평론가 : 선거 공약이 정말 2030 세대에 어필할 수 있고 그들이 원하는 것인지.]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런 '멸공' 논란은 최근 대통령 선거 캠페인 양상이 SNS 중심으로 달라진 것과도 그 맥이 닿아있습니다. 

젊은 세대에게 익숙한 SNS 공간을 통해 거대 담론보다는 주로 생활 밀착형 공약을 후보마다 내놓고 있는데, 그 배경을 화강윤 기자가 짚어 봤습니다.

<기자>

지난 4일, 탈모약 건강보험 적용 공약이 화제를 일으키자 이재명 민주당 후보가 바로 영상을 올립니다.

[이재명은 심는 겁니다.]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개인 채널에 '59초 공약' 영상을 하루 한 개꼴로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좋아요! 구독! 알림설정!]

짧은 형식에 재미를 담아 인터넷과 SNS 등을 통해 빠르게 전파될 수 있도록 하고, 누구에게 전달할지 구체적으로 설정한 생활 밀착형 공약으로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데 집중하는 겁니다. 

한반도 대운하, 경제민주화, 적폐 청산처럼 거대 담론과 전 국민 상대 공약에 주력했던 과거 대선 캠페인과는 달라진 모습입니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대면보다는 미디어 선거 운동이 대세가 되고 또 캐스팅 보트로 떠오른 젊은 층이 더 익숙한 방식을 활용해 표심을 선점하겠다는 셈법입니다.

반응은 엇갈립니다.

[서지혜/강원도 춘천시 : 짧게 간단하게 볼 수 있으면 '아, 이렇구나' 하고 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강상묵/경기도 김포시 : 뭘 얘기하는지는 알겠는데, 설명이 부족한 공약들이….]

문제는 각 후보들의 색깔이 드러나는 핵심 공약은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김형준/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 그것이 전부가 돼서는 안 된다는 거예요. 1호 공약이라든지, 2호 공약이라든지, 대표 킬러 콘텐츠를 얘기한 다음에 이렇게 조그마한 것들을 얘기를 해줘야 되는데….]

형식을 꾸미는 데 힘을 쏟다 보니 내용이 충분치 않거나 구체적이지 않은 점도 문제입니다.

[김헌식/대중문화 평론가 : 선거 공약이 정말 2030 세대에 어필할 수 있고 그들이 원하는 것인지….]

유권자들의 시선이 아니라 표로 이어질 마음을 잡으려면 실현 가능성까지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화강윤 기자hwaky@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