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제·공산 침략"..더 선명해지는 윤석열의 '우향우'
[경향신문]
공단 찾아 근로시간 “재검토”
이념 공세 함께 민생 공약도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우클릭 행보를 강화하고 있다.
윤 후보는 10일 “중앙지검장 시절 직원들 중에서도 주 52시간을 반대한 사람들이 많았다. 소득이 줄어드니까”라며 52시간제 재검토 의사를 거듭 강조했다. 이날 “공산 침략”과 같은 이념 갈등을 전제로 한 발언도 이어갔다.
윤 후보는 이날 인천 남동공단을 찾아 “노사 합의에 의해 집중적으로 일해야 할 때는 근로시간 늘리고 그렇지 않을 때는 줄여서 연평균 주 52시간을 맞추게 해달라는 요구들이 많다”며 이같이 밝혔다. 일부 중소기업 등의 주 52시간제 비판 여론을 자신의 검찰 경험에 근거해 정당화하려는 것이다. 공무원은 주 52시간 제도를 적용받지 않는다. 이양수 선거대책본부 수석대변인은 “후보가 검찰 공무원으로부터 52시간 적용으로 힘들어 한다는 지인 얘기를 전해들은 것도 있고, 검찰 내 공무원법 적용을 받지 않는 이들의 사정을 듣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윤 후보는 주 52시간제의 부작용 원인을 대기업 노동조합에서 찾았다. 그는 “현실적으로 문제가 일어나는 곳들은 대부분 중소기업인데, 민주노총이 지배하는 대기업 노조들의 영향하에서 (주 52시간 제도 적용이) 이뤄지다 보니 중소기업은 노사 간에 받아들일 수 없게 만들어진 상태”라며 “근로시간 문제는 다시 국민적 합의를 도출해서 근로시간을 유연화하고 충분한 보상을 해주는 방안을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윤 후보는 강경한 우편향 발언도 꺼냈다. 인천 송도센트럴파크호텔에서 열린 선대위 출범식에서 “(인천은) 공산 침략으로부터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한 곳”이라고 한 뒤 “한국전쟁 당시 적의 허를 찔러 판세를 일거에 역전시킨 인천상륙작전처럼 이 나라를 구할 역전 드라마의 대장정이 인천에서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문재인 정권과 집권 여당이 사회를 얼마나 분열시켰고 국민의 삶을 얼마나 힘들게 했냐”며 “대선에서 반드시 승리해 5년간 망가진 이 나라를 반드시 정상화시켜야 한다”고도 했다. ‘멸공’ 챌린지 논란에는 “표현의 자유로 보장하는 것(사안)”이라는 입장을 냈다.
윤 후보는 이념 공세 한편으로 생활밀착형 공약도 꺼내놓고 있다. 이날 시외·고속·광역버스를 장애인 저상버스나 리프트 장착 버스로 보급한다는 공약을 내놨다. 개인 용도로 억대 수입차를 구입한 뒤 법인차로 사용해 탈세하는 행태를 막고자 법인 차량 번호판은 일반 차량과 다른 색상을 넣게 하는 정책도 발표했다. 대부분 ‘59초 공약’ 시리즈의 일부다. 앞서 선대본은 1·2탄 공약으로 전기차 충전 요금을 동결하고, 지하철 정기권 사용을 버스 환승까지 확대한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조문희 기자 moony@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석열 ‘양강’ 안철수 ‘3강’…단일화 판가름 ‘1월 성적’에 사활
- 윤석열 2030 남성 올인에 이준석 “좋은 변화”
- 2030 여성에 다가가는 이재명…‘젠더 프레임 갇힐라’ 경계도
- 이재명 “수능, 현실에 맞게 재검토”…수시와 정시 비율 조정도 시사
- 심상정 “그린노믹스로 불평등·탄소경제와 결별”
- 윤석열 “멸공 메시지, 표현의 자유” 권영세 “공식 입장 아냐”
- 박지원 “김성훈, ‘김건희에 맛난 회 준다’ 바다에 가두리 만들어 작살 사냥” 황제경호 논란
- [속보]경찰 “윤상현, 강남경찰서장에게 전화해 ‘연행자 잘 부탁한다’ 발언”
- [속보]교정본부장 “공수처 수사팀, 윤 대통령 수감된 서울구치소 도착”
- 윤석열 “총 쏠 수 없냐” 질문에 경호차장 “알겠습니다” 답해…경호처 관계자 경찰서 진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