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매 위기 넘겼다 했는데..구조된 바다거북 배 속에서 비닐봉지 쏟아져

권윤희 2022. 1. 10. 19: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멸종위기 푸른바다거북 수십 마리가 바다로 돌아갔다.

자카르타포스트는 8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꾸따 해변에서 바다거북 방생 행사가 열렸다고 보도했다.

배 안에서는 생후 7~30년 사이 푸른바다거북 33마리가 발견됐는데, 그 중 1마리는 이미 도살된 뒤였다.

인도네시아 해군은 구조한 바다거북을 TCEC로 보내 방생 계획을 세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멸종위기 푸른바다거북 수십 마리가 바다로 돌아갔다. 자카르타포스트는 8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꾸따 해변에서 바다거북 방생 행사가 열렸다고 보도했다.

멸종위기 푸른바다거북 수십 마리가 바다로 돌아갔다. 자카르타포스트는 8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꾸따 해변에서 바다거북 방생 행사가 열렸다고 보도했다.

현지 바다거북보전및교육센터(TCEC) 자원봉사자들은 이날 꾸따 해변에서 바다거북 30여 마리를 방생했다. 힘차게 바다로 향하는 바다거북 뒤에서 건강을 기원했다.

현지 바다거북보전및교육센터(TCEC) 자원봉사자들은 이날 꾸따 해변에서 바다거북 30여 마리를 방생했다./AP연합뉴스
로이터 연합뉴스

바다로 간 거북은 모두 인도네시아 해군이 밀렵꾼에게서 구조한 거북들이다. 인도네시아 해군은 지난달 말 발리 앞바다에서 불법조업 어선 3척을 나포했다. 배 안에서는 생후 7~30년 사이 푸른바다거북 33마리가 발견됐는데, 그 중 1마리는 이미 도살된 뒤였다. TCEC 측은 “구조된 거북 수를 보고 놀랐다. 지난 5년간 발리에서 푸른바다거북을 본 적이 없는데 전부 밀렵꾼 손에 들어가 있었다”고 혀를 내둘렀다.

푸른바다거북(학명 Chelonia mydas)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적색목록에 위기(EN) 단계에 올라 있는 멸종위기종이다. 계속된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가 급감했다. 말레이시아와 베트남, 중국 등지에서 푸른바다거북은 ‘보신용’으로 비싼 값에 팔린다. 인도네시아는 이들 수요에 맞춰 물량을 대는 밀매국 역할을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당국이 최고 5년의 징역형으로 다스리고 있지만, 밀매는 좀처럼 근절되지 않고 있다.

인도네시아 해군은 구조한 바다거북을 TCEC로 보내 방생 계획을 세웠다. TCEC는 엑스레이 등 각종 검사를 통해 바다거북 건강을 확인했다. 그 과정에서 관계자들은 바다거북 배 속에 가득찬 비닐봉지를 발견했다./사진=TCEC

인도네시아 해군은 구조한 바다거북을 TCEC로 보내 방생 계획을 세웠다. TCEC는 엑스레이 등 각종 검사를 통해 바다거북 건강을 확인했다. 그 과정에서 관계자들은 바다거북 배 속에 가득찬 비닐봉지를 발견했다. 4일 TCEC 측은 “소화기관을 막은 쓰레기를 빼내기 위한 약물치료가 시작됐고, 바다거북들은 곧 비닐봉지를 잔뜩 배설했다”고 밝혔다.

바다거북이 먹이로 오인하고 삼킨 플라스틱 쓰레기는 소화기관을 막아 가스를 발생시킨다. 바다거북은 가스로 인한 가짜 포만감 때문에 섭식장애를 앓다 굶어 죽는다. TCEC 측은 “밀렵이 아니었어도 결국 플라스틱 쓰레기에 위가 막혀 죽었을 것이다. 바다거북이 목숨을 부지하지 못하긴 매한가지였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밀매 근절과 서식지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AP연합뉴스
AP연합뉴스

1만 7000여 개의 섬으로 구성된 인도네시아에서는 연간 130만t의 쓰레기가 바다로 버려진다. 특히 우기마다 바다로 밀려드는 쓰레기는 골칫거리다. 많게는 하루 60t의 바다 쓰레기가 수거되고 있다.

발리 바다가 쓰레기통이 된 데에는 현지 폐기물 처리 기반이 열악한 탓이 가장 크다. 폐기물 대부분이 적절한 처리 없이 바다로 흘러들기 때문이다. 2010년 바다로 유입된 플라스틱 쓰레기 1270만t 중 129만t이 인도네시아발이었다. 전 세계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이 가장 많은 미국이 바다에 버린 쓰레기가 111만t 수준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규모다.

문제는 외부에도 있다. 전 세계 폐기물 대부분을 수입하던 중국이 2018년 폐플라스틱 등 24종류의 폐기물 수입을 중단하면서 갈 곳을 잃은 선진국 쓰레기는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로 몰리고 있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연간 300만t 이상이 동남아 국가로 유입되고 있다.

권윤희 기자 heeya@seoul.co.kr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