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고용지표 '부진'에도 3월 금리인상 힘받는 이유는?

고준혁 2022. 1. 10. 18: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월 비농업 신규 고용, 예상치 절반도 못 미쳐
주식·채권 시장, 통화정책 정상화 가속 반영
실업률 정상 회복·임금 상승 등 인플레 우려 더 커
[이데일리 고준혁 기자] 미국 고용지표가 예상치에 한참 못 미쳤는데도, 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3월 정책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했다. 떠나간 노동자는 돌아오지 않는 가운데, 실업률 회복과 임금 상승이란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할 요인들이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란 해석이 나온다.
공차 미국 워싱턴DC점. (사진=AFP)
고용지표 둔화에도 3월 기준금리 인상 확률 73.4%
지난 7일 미국 노동통계국은 작년 12월 비농업 신규 고용이 19만9000개 늘었다고 발표했다. 시장 예상치는 42만2000개다. 전문가들이 전망한 평균치를 절반도 채우지 못한 것이다. 그럼에도 시장은 연준의 3월 기준금리 인상과 자산 매입 축소(QT) 가능성을 더 적극적으로 반영했다. 보통 고용시장이 불안정하면, 중앙은행은 통화완화 정책을 유지한다.
(출처=CME)
9일(현지시간) CME그룹에 따르면 기준 연방기금금리 선물 시장에 반영된 3월 기준금리 1회 인상 확률은 73.4%로 일주일 전 57.1%에서 큰 폭 올랐다. 고용지표 발표 당일 미국채 10년물은 지난 1년 중 최고치를 경신, 1.765%로 마감했다. 미국채 2년물도 전 거래일보다 0.24%p 상승해 0.9%대에 육박했다. 기술 성장주 중심의 나스닥(-0.96%)이 경기민감주 중심의 다우존스(-0.01%)보다 큰 폭 내렸다.

전문가들도 미국의 고용지표가 부진했지만, 연준이 통화정책을 정상화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판단했다. JP모건 이코노미스트들은 기준금리 전망 시점을 직전 6월에서 3월로 앞당겼다. 바클레이즈는 “고용지표가 연준이 3월 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확신을 갖게 했으며, 연준이 갑자기 자산매입 종료를 발표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스티븐 주노 미국 이노코미스트는 “고용지표가 다소 약하게 나왔지만, 세부 내용을 파고들어 보면 좀 더 낙관적일 이유가 있다”고 말했다.

실업률 3.9%로 코로나19 사태 전으로

이날 파이낸셜타임즈(FT)는 “미국의 고용시장은 보이는 것보다 더 강하다”며 지표가 틀렸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지표는 다음 달과 그 다음달 수정되는데, 최종 나오는 수치가 지금보다 높을 수 있단 얘기다. 이유는 팬데믹(전염병 대유행)으로, 지표 산출을 위해 실시하는 기업 대상 응답률이 코로나19 전보다 낮았다. 또한 계절 조정(Seasonal adjustment·비경기적 요인인 계절변동요인을 추출해 제거하는 것)을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도 지적된다. 옥스포드 이코노믹스의 그레고리 다코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2월 고용지표의 원래 데이터는 7만2000건이고, 여기에 12만7000건의 계절조정을 더했는데, 이는 일반적인 12월 조정보다 작은 것으로 향후 더 많은 수정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장이 고용지표 둔화와 이에 따른 연준의 긴축 지연을 반영하지 않은 보다 중요한 이유는 ‘미국 고용시장이 더 개선될 수 없을 만큼 최대치에 도달했다’는 생각이 시장에 받아들여지고 있단 점이 꼽힌다. 12월 고용지표와 함께 발표된 노동시장 관련 지표들이 이같은 결론을 내리게 한 것으로 풀이된다.
(출처=인베스팅닷컴)
실업률은 3.9%로 예상치인 4.1%를 하회했으며, 코로나19 사태 전인 2020년 3월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생산활동참여지수는 61.9%로 전달 수준을 유지했다. 시간당 평균 임금 증가율은 4.7%로 예상치 4.2% 증가했다. 노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수요)은 더 늘지 않는데 실업률이 하향안정화됐다면, 일자리수(공급)가 더 늘어났단 얘기다. 이는 임금이 올라간 이유로도 이어진다. 일할 사람이 없기 때문에 기업들은 임금을 올리고 있다. 이른바 떠난 노동자가 돌아오지 않는, 노동력 부족(labor shortage) 현상이다.

한 번 올라간 임금은 좀처럼 내려가기 쉽지 않아 인플레이션의 하방 경직성 강화 요인으로 지목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해 내내 인플레이션이 ‘일시적(transitory)’이란 말을 달고 살았다가, 연말 의장에 재임한 뒤부턴 입장을 선회했다. 뱅가드의 앤드류 패터슨 국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3월로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 전망을 앞당길지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다”며 “임금 상승과 인플레이션은 연준의 마음을 무겁게 짓누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파월 의장 “노동력 참여 이뤄지지 않았지만, 금리 올린다”

다만 실업률 회복을 두고 미국 고용시장을 건강하다고 해석하긴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할 마음이 있는 사람들을 다 채용한 건 맞지만, 전보다 일할 사람 자체가 줄어들었고 이는 노동력 부족과 임금 상승이란 악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팬데믹 전 생산활동참여지수는 63%로 아직 이에 도달하지 못했으며, 그때에 비해 현재 미국의 전체 노동자는 약 360만명이나 더 적다.

FT는 작년 파월 의장이 인플레이션을 일시적이라고 고수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고 설명했다. 파월 의장은 지난해 2월 연설에서 코로나19 기간 동안 발표된 실업률은 노동 시장의 악화를 극적으로 과소평가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입장을 바꾼 같은 해 12월 그는 “(인플레이션 억제 관련) 정책을 세워야 한다”면서도 “현실은 아직 강력한 노동력 참여 회복이 이뤄지지 않고 한동안 회복되지 않을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고용이 뒤처지더라도 우선 인플레이션 문제가 시급하니 이부터 우선 해결하겠단 의미다.

전문가들도 연준이 더는 통화정책 정상화를 미룰 수 있는 명분이 없다고 설명했다. TS롬바드의 스티븐 블리츠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연준이 (금리 인상을) 뒤로 미룰 근거가 없다”며 “우리는 확실히 완전고용 상태에 있으며, 통화 완화책을 써야 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고준혁 (kotae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