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사태' 두고.. 美·러 "물러서지 않겠다" 기싸움 팽팽

박영준 2022. 1. 10. 18:0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공식 회담을 하루 앞둔 9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2시간 넘게 사전 협상을 벌였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 미국의 고강도 제재 가능성을 강조하는 것도 빼놓지 않았다.

첨단기술, 전자제품 등의 대 러시아 수출 규제가 핵심으로 미국발 수출뿐 아니라 일부 해외 생산 제품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양국 '우크라 사태' 사전협상
美, 러 요구 수용불가 원칙 내세워
우크라 침공 땐 고강도 제재 강조
러선 "대화는 어려웠지만 효율적
회담 단 한번으로 끝날 수도" 경고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왼쪽),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 AP연합뉴스
미국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공식 회담을 하루 앞둔 9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2시간 넘게 사전 협상을 벌였다. 미·러 정상이 화상 정상회담과 전화통화 등을 통해 이미 평행선을 그어온 만큼 사전 협상에서도 진전 없이 신경전을 이어갔다.

미 국무부는 이날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과 만나 10일 전략안정대화(SSD)에 나눌 주제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네드 프라이스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통해 “셔먼 부장관이 주권과 영토의 온전성에 관한 국제적 원칙, 주권국가가 동맹을 스스로 선택할 자유에 관한 미국의 약속을 강조했다”면서 “외교를 통한 진전을 환영한다고 했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 등 옛 소련 국가들의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가입 금지, 우크라이나 및 인접 지역에 대한 나토의 무기 배치 금지 등 러시아의 요구에 대해 수용 불가 원칙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국무부는 또 “미국은 SSD에서 미·러 양국의 문제를 논의할 것이지만, 유럽의 동맹과 파트너 없이는 유럽의 안보에 관해 논의하지 않겠다”고 못 박았다.
폐가 둘러보는 우크라 군인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미국과 러시아 간 회담을 하루 앞둔 9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친러시아 분리주의 반군 간 교전이 이어지는 동부 도네츠크의 폐가를 한 군인이 둘러보고 있다. 도네츠크=AP연합뉴스
12일과 13일 러시아와 나토 간 협상, 러시아와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간 협상이 각각 예정된 만큼 서방 동맹국과 의견 조율을 중시하겠다는 뜻을 밝힌 셈이다.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앞선 방송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총구를 겨눈 상태에서 진전을 보긴 매우 어렵다면서 “몇 주 안에 어떤 돌파구를 볼 것으로 생각지 않는다”고 말하기도 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 미국의 고강도 제재 가능성을 강조하는 것도 빼놓지 않았다.

블룸버그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대북 제재 수준의 고강도 수출 규제를 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첨단기술, 전자제품 등의 대 러시아 수출 규제가 핵심으로 미국발 수출뿐 아니라 일부 해외 생산 제품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통해 자동차와 스마트폰, 태블릿, TV 등에 대한 수출 규제 가능성이 수차례 언급되는 만큼 우크라이나 공습이 현실화할 경우 삼성을 포함한 한국 기업에도 여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우크라이나 병사 한 명이 지난 8일(현지시간) 친러시아 분리주의 세력과 대치하는 도네츠크 지역 전선의 참호에서 망원경으로 정찰을 하고 있다. 도네츠크=AP연합뉴스
러시아는 물러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랴브코프 차관은 이날 사전 협상 전 언론 인터뷰에서 “러시아에 대한 지속적인 위협에도 우리는 어떤 양보도 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는 구걸하러 가는 것이 아니다. 러시아의 요구를 귀담아듣지 않는다면 회담이 단 한 번으로 끝날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경고했다.
셔먼·랴브코프 협상 시작 1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 주재 미국 대표부에서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왼쪽)과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차관이 안전보장 협상 시작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양 측은 우크라이나 접경지대 갈등 해소와 러시아·서방 간 안전 보장 문서 채택 등을 놓고 논의했다. 제네바=AP연합뉴스
다만 랴브코프 차관은 사전 협상 후 논의에 대해 “놀라웠다(amazing)”며 낙관할 근거가 있다고 말했다고 러시아 스푸트니크통신이 보도했다. 미국 측과 대화는 어려웠지만 효율적이었다며 10일 본 회담에서 양측이 시간을 낭비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고. 랴브코프 차관은 러시아가 타협할 준비가 돼 있느냐는 질문에는 “미국이 타협에 이를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워싱턴=박영준 특파원 yjp@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