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반도체, 2021년 매출 1조3005억원 달성

2022. 1. 10. 16:5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광반도체 전문기업 서울반도체(대표 이정훈)가 지난해 연 매출 1조3005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10일 서울반도체는 지난해 4/4분기 잠정매출액이 연결 기준으로 3130억원을 기록했고, 연간 매출액은 1조3005억원을 달성할 것이라 밝혔다.

그러나 서울반도체는 미래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지난해 소폭의 매출 성장세를 달성했고, 올해도 연간 매출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원자재난 뚫고 전년 대비 12.8% 성장
CES 2022에서는 차별화 기술도 최초 공개

[헤럴드경제 도현정 기자]글로벌 광반도체 전문기업 서울반도체(대표 이정훈)가 지난해 연 매출 1조3005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10일 서울반도체는 지난해 4/4분기 잠정매출액이 연결 기준으로 3130억원을 기록했고, 연간 매출액은 1조3005억원을 달성할 것이라 밝혔다. 연매출은 전년보다 12.8% 오른 기록이다.

서울반도체는 지속적인 거래선 다각화와 자동차 부문의 견조한 실적으로 지난해 3분기 당시 제시했던 매출 가이던스를 충족했다고 전했다. 4분기는 특히 원자재와 반도체 수급난이 격화되면서 생산 축소 등의 악재를 겪어야 했다. 여기에 전년 동기보다 40% 가량 오른 LCD 패널 판가 영향 때문에 TV와 모니터 등의 글로벌 수요도 약세였다. 그러나 서울반도체는 미래 혁신 기술을 바탕으로 지난해 소폭의 매출 성장세를 달성했고, 올해도 연간 매출 성장을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서울반도체의 미래 혁신 기술은 지난 5일부터 진행된 세계 최대의 IT·가전 박람회 CES 2022에서 대거 선보였다. 자동차 부문 LED 기술 중 자율주행 차량에 적용되는 와이캅 엠씨, 와이캅 ADB(Adaptive Driving Beam), 바이오레즈 차량용 UV LED 살균기술 등이 CES에서 눈을 사로잡았다.

서울반도체는 디스플레이 부문 신규 기술인 LBL(Low Blue Light)도 CES를 통해 첫 공개 했다. LBL 기술은 최고의 화질을 구현하면서 청색광을 자체 차단하는 기술이다. 이는 서울반도체만의 특허 기술로, 기존 청색광 차단 필터 기술과 달리 블루광의 파장 중에서 유해한 파장(415~455nm)만을 최소화해 색상 왜곡 없이 선명한 화질을 그대로 구현한다는게 회사 측 설명이다.

CES에서 선보인 미니·마이크로 LED는 올해 본격 양산 예정이다. 서울반도체는 지난해부터 미니 LED 양산을 시작했다. 지난해 8월에는 3원색(RGB) 광원 중 블루·그린은 직경 1㎛의 LED 개발에 성공했다.

회사는 썬라이크(SunLike) 기술을 활용한 실내 고품질 조명으로도 매출 호조를 이어갈 것이라 전했다. 썬라이크 기술은 시간대별 자연의 빛과 파장을 그대로 구현해 인간 생체 리듬에 최적화된 조명 기술로 알려졌다. 서울대학교와 독일 바젤대학교, 미국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등에서 연구를 통해 썬라이크가 채택된 조명이 학생들의 기억력과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내용을 확인한 바 있다.

kate01@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