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사일전문가들 "北 극초음속 활공체 원뿔형 설계 시험"..軍 주장 잇단 반박

정충신 기자 2022. 1. 10. 16: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군 당국이 최근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 주장이 과장됐으며 탄도미사일 실험에 불과하다고 공식 반박한 가운데, 국내 미사일 권위자가 군의 입장을 사실상 재반박하는 주장을 펴 눈길을 끈다.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2019년 11월 열린 영국 국방부 주최 '극초음속 활공체 개념 및 성능 평가' 세미나에서는 원뿔형 형상의 극초음속 활공비행체(HGV) 미사일이 소개된 사례가 있다"며 "이에 비춰 북한이 지난 5일 발사한 발사체는 회피 기동이 가능한 더욱 고도화된 '파생형 MARV'를 통한 극초음속 미사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3년 전력화 예정인 미국 최초 극초음속 미사일인 미사일 장거리 극초음속무기(LRHW·Long Rage Hypersonic Weapon) 모형. 탄두가 원뿔형 활공체로 북한이 지난 5일 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과 닮은꼴이다.미 육군 홈페이지 캡처
북한이 지난 5일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6일 보도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해 9월 28일 새로 개발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8형 시험 발사를 처음으로 진행했다고 밝힌 바 있다. 사진은 전날 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왼쪽)과 작년에 발사한 화성-8형(오른쪽)으로, 탄두부 모양이 다소 다른 모습이다.[연합뉴스 자료사진] 2022.1.6

장영근 “미군도 ‘원뿔형’ 활공비행체 있어…충분히 활공 가능”

권용수 “北 회피기동 가능 고도화된 ‘파생형 MARV’로 극초음속무기 실험 가능성”

군 당국이 최근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 주장이 과장됐으며 탄도미사일 실험에 불과하다고 공식 반박한 가운데, 국내 미사일 권위자가 군의 입장을 사실상 재반박하는 주장을 펴 눈길을 끈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10일 언론에 보낸 ‘북한 극초음속 활공비행체(HGV) 시험발사 분석’ 제목의 자료에서 “(북한이) 원뿔 형상을 가진 비행체로 극초음속 활공비행체(HGV)의 형상설계를 시험한 것으로 추정하는 것이 더 타당해 보인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7일 군은 북한이 5일 발사한 미사일의 원뿔형 모양(형상)과 속도 등을 근거로 극초음속 미사일이 아닌 기동형 재진입체(MARV)를 탑재한 일반적 탄도미사일 범주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이 주장한 ‘120km의 측면 기동과 700km 표적 명중’의 능력도 과장됐다고 발표했다.

이에 장 교수는 “(군은) 원뿔 형상 활공 비행체의 경우 하단의 날개만으로는 양항비(양력과 항력의 비율·Lift-to-Drag Ratio)가 작기 때문에 활공할 수 없다고 하지만, (시뮬레이션 결과) 최대 2.0 정도의 양항비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히 활공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번에는 지난해 처음 발사한 ‘화성-8형’과 다른 형태의 HGV 발사체 시험을 통해 공기역학, 유도제어, 내열 성능 등을 검증하는 단계로 보인다고 장 교수는 평가했다. 특히 “미 육군이 개발 중인 LRHW(Long-Range Hypersonic Weapon) 극초음속 활공 비행체도 90도 간격으로 4개의 꼬리날개를 가진 원뿔 형상”이라고 덧붙였다. 장 교수는 국방부가 과장됐다고 발표한 북한의 ‘측면기동 120km’ 주장에 대해서도 이론적으로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HGV에 추력기 기반의 소형추진시스템(Reaction Control System)을 장착하면 측면 기동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이 HGV가 아니고 MARV를 장착한 통상적인 탄도미사일이고 국내 미사일방어체계로 충분히 요격이 가능하다면, 왜 발사 당일 탐지된 비행궤적(정점고도, 사거리, 비행시간, 비행궤적에 따른 속도 등) 데이터를 발표하지 못했느냐”고 반문했다. 아울러 군이 발사 당일 사거리와 고도 등을 발표하지 않은 것을 두고는 “(북한의 미사일이) 다수의 풀업(pull-up·상하) 기동을 통해 비행체가 탐지됐다 사라지는 것을 반복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장 교수는 다만 이번 발사체가 지난해 10월 북한 국방발전전람회에 처음 공개된 무기라는 점엔 동의하면서도, 원뿔형의 HGV인지, 군 당국 발표처럼 MARV인지에 대해서는 “실질적 비행궤적 데이터가 없는 상황에서 구별에는 한계가 존재한다”고 말했다.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2019년 11월 열린 영국 국방부 주최 ‘극초음속 활공체 개념 및 성능 평가’ 세미나에서는 원뿔형 형상의 극초음속 활공비행체(HGV) 미사일이 소개된 사례가 있다”며 “이에 비춰 북한이 지난 5일 발사한 발사체는 회피 기동이 가능한 더욱 고도화된 ‘파생형 MARV’를 통한 극초음속 미사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정충신 선임기자

[ 문화닷컴 | 네이버 뉴스 채널 구독 | 모바일 웹 | 슬기로운 문화생활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