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 미생물로 대장암 치료 가능해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장내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이 대장암 성장 억제가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조현수 박사 연구팀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에서 생산되는 물질이 대장암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 분해를 촉진해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사람의 장내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에서 만들어지는 물질이 대장암 성장 억제가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 앞으로 장내 미생물에 기반한 대장암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조현수 박사 연구팀이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에서 생산되는 물질이 대장암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 분해를 촉진해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마이크로바이옴은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과 미생물의 유전정보를 뜻한다. 최근 세계적으로 마이크로바이옴과 질병 간 인과 관계를 밝히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특히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대장암과 같은 장(腸) 질환뿐 아니라, 비만, 당뇨, 아토피 피부질환, 우울증, 노화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대장암은 서구화된 식생활 습관 등으로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는데, 항암 치료 때 여러 부작용과 낮은 효능으로 많은 환자가 고통받고 있다.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 대사체인 '프로피오네이트'가 대장암의 치료 타깃인 'EHMT2' 효소 단백질의 분해를 촉진해 대장암 세포를 사멸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EHMT2 저해제와 프로피오네이트를 동시에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대장암 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3차원 세포배양모델을 통해 알아냈다.
조현수 생명연 박사는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대장암 성장 억제 기전을 통해 인체 유용 마이크로바이옴을 항암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생물 분야 국제 학술지 '국제미생물생태학회지(지난 1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이준기기자 bongchu@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설강화` 배우 김미수 사망…"추측성 보도 자제해달라"
- 코로나로 생사 기로 영국 여성, 비아그라 투여했더니 `기적 회생`
- 딸 자해 오인해 방문 부순 엄마…헌재 "처벌 못한다"
- 도올 김용옥, 이재명 극찬 “하늘이 내린 사람…‘기본소득’에 선각자라 생각”
- 수원∼일산 택시비 7만원 `먹튀` 10대 여성 2명 결국 잡혔다
- 살아도 같이 살고 죽어도 같이 죽는다? 재판 동반자 윤석열과 이재명
- SK하이닉스, 세계최초 ‘HBM4’ 12단 샘플 공급…“계획보다 빨라”
- `철강산업 위기` 총력 대응…제3국 우회 덤핑 막고, 품질증명 제도화
- 업황 나아진 IT서비스 "AI·클라우드로 한번더 Up"
- `신의 직장` 보험사, 은행 연봉 추월… 평균 1.5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