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용역 등에 162억 투입

최수상 2022. 1. 10. 10: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울산시는 올해 자연재해위험지역에 대한 항구적인 개선사업과 둔치주차장 차량침수 피해예방, 폭염·한파 등 자연재난 취약계층 보호에 총 162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주요 사업을 보면 △자연재해위험지구 개선사업 122억, △둔치주차장 차량침수 예방 시스템 구축 23억 원 △폭염·한파 취약계층 보호대책 10억 원 △자연재해저감수립 용역 4억 원 △노후 배수펌프장 펌프시설 분해·정비 3억 원 등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자연재해위험지구 개선사업  122억
둔치주차장 침수 예방 시스템 구축
2만5000여 가구에 에어컨, 전기히터
울산 태화교 하부도로 침수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울산시는 올해 자연재해위험지역에 대한 항구적인 개선사업과 둔치주차장 차량침수 피해예방, 폭염·한파 등 자연재난 취약계층 보호에 총 162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주요 사업을 보면 △자연재해위험지구 개선사업 122억, △둔치주차장 차량침수 예방 시스템 구축 23억 원 △폭염·한파 취약계층 보호대책 10억 원 △자연재해저감수립 용역 4억 원 △노후 배수펌프장 펌프시설 분해·정비 3억 원 등이다.

자연재해위험지구 개선사업은 2016년 태풍 ‘차바’로 침수피해가 컸던 태화 및 반천지구와 상습 침수지역인 두왕, 내황지구 등 4곳이며 전체 사업비 980억 원 중 122억 원이 올해 투입된다.

이 사업들이 완료되면 2만 여명의 주민들이 침수피해 위험으로부터 벗어 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 태화강, 동천 등의 둔치주차장 9곳에 23억 원을 투입해 대형 전광판을 설치하고 차량 소유자에게 위험안내 및 차량이동 안내 문자를 자동 발송하는 알림시스템을 구축한다.

더위와 추위로 고통 받는 홀몸어르신 등 재난취약계층 보호를 위해서는 에어컨, 전기히터 등 냉·난방 용품과 단열재 보강, 창호교체 등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지원한다. 대상은 2만 5000여 가구이다.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울산시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수립 용역’을 지난해 12월 착수해 2023년 완료 목표로 추진 중이다. 연차별로 각각 4억, 5억, 9억 원을 투입해 사업비는 총 18억 원에 이른다.

울산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방재성능목표를 재설정하고 재해위험지구 발굴 등 실질적인 예방대책을 마련한다. 특히 대규모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침수피해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 우수유출 저감대책도 함께 만든다.

또 노후된 배수펌프 3곳에 대해서도 분해 정비사업을 추진해 배수펌프장의 상시적인 안정성을 높여 나간다.

시 관계자는 “지구온난화 등 기상 이변으로 과거에 비해 자연재난의 위험도는 크게 높아지고 이로 인해 예상치 못한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예산의 효율적 집행으로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안전한 도시를 만들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