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성평등, 여전히 중요..정치목적으로 한쪽 편 들면 안 돼"

정재민 기자,권구용 기자 2022. 1. 9. 18: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9일 "여성가족부(폐지)를 얘기하는데, 저는 명확하게 성평등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문제라고 본다"고 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마포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국민반상회'에서 대학생·취업준비생·경력단절 여성 등과 만나 "평등의 가치는 어느 영역이나 중요한 가치로 국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기성세대 내의 페미니즘 문제는 상당히 타당성이 높은데, 청년세대 내는 페미니즘 문제가 아닌 것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청년세대 내엔 페미니즘 문제 아닌 것 같아"
"청년 기본소득 욕하는 사람 왜 이리 많나" 토로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9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대인근 카페에서 배달 알바 노동자, 취준생, 대학생들과 만나 '국민반상회'를 갖고 있다. 2022.1.9/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서울=뉴스1) 정재민 기자,권구용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9일 "여성가족부(폐지)를 얘기하는데, 저는 명확하게 성평등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문제라고 본다"고 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마포구의 한 카페에서 열린 '국민반상회'에서 대학생·취업준비생·경력단절 여성 등과 만나 "평등의 가치는 어느 영역이나 중요한 가치로 국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기성세대 내의 페미니즘 문제는 상당히 타당성이 높은데, 청년세대 내는 페미니즘 문제가 아닌 것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근 페미니즘, 성소수자 등 의제를 주로 다루는 '닷페이스' 채널에 출연한 것과 '여성가족부 폐지'를 주장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를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제가 거기(닷페이스) 한번 출연했다고 엄청나게 혼나고 있다. 조금만 말을 잘못하면 큰일 나는 수가 있어 조심해야 한다"면서도 "기성세대가 정치적인 목적을 가지고 한쪽 편을 들면 안 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 밖에도 청년들과 정치 현안은 물론 자신의 공약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이 후보는 경기도지사 시절 시행했던 '청년 기본소득'을 언급하며 "한 해에 100만원, 분기별로 25만원씩 지급했는데 체감한 사람은 꼭 필요하다고 한다"며 "그런데 청년 기본소득을 한다니 욕하는 사람이 왜 이렇게 많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생에서 생애 주기별로 돈의 가치가 다르다"며 "같은 100만원도 40대에 성공한 이후 100만원과, 정말 어렵고 교육비, 데이트 비용도 부족한 20대완 다르다. 이걸 잘 배정하는 게 진짜 실력"이라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기회와 공정성의 문제를 언급하며 청년들의 자문을 구하기도 했다.

한 청년은 "아버지 세대가 가진 것을 조금만 주시면 좋겠다"며 "개인적이지만 국회의원은 56세까지만 했으면 한다"고 했다.

이에 이 후보는 "왜 56세냐, 난 지나버렸는데"라고 웃으며 답하며 "민주당도 그렇고 고민 중이다. 여성이 워낙 없어 여성할당제를 하는데, 그중 청년 비중이 적어 청년 문제를 이해 못 한다. 청년들을 아예 배제하면 안 되고 일정 비율을 할당하자고 얘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청년은 "노동소득의 가치가 낮아지지 않는 세상이 됐으면 한다"고 건의했다.

이 후보는 "진짜 중요한 말씀이다. 과거에는 노동을 통해 소득을 올리는 시대였는데, 지금은 자산이 자산을 불리는 시대가 됐다"며 "자산이 자산을 만들어내는 걸 최소화할 필요가 있고, 대표적인 케이스가 부동산 투기"라고 답했다.

이 후보는 간담회를 마친 뒤 "제가 청년세대 얘기할 때만 되면 여러 가지로 미안하다"며 "제가 사실 청년 얘기를 많이 하는데, 오해가 생기기 시작한다. '청년 지지율이 떨어지니 표를 얻으려고 저러는가보다'는 소리를 들을 때 제일 싫다"고 했다.

끝으로 "우리 사회의 모든 문제, 핵심적인 모순 문제가 청년을 통해 분출하고 있다고 본다"며 "문제 해결이 쉽진 않지만 힘을 모아서 가능하다고 본다. 결국 정치의 문제다. 정치인들이, 정치집단이 좀 잘하면 지금보단 훨씬 나은 세상이 만들어지는 건 분명하다. 열심히 하겠다"고 말했다.

ddakbo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