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S 2022]2년 만 오프라인..혁신 기업들 '영역의 벽'을 허물다

손의연 2022. 1. 9. 15:3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흘간 2300개 기업 참여·4만 관람객 운집
기존 영역서 더 나아간 새로운 시도 '주목'
주요 글로벌 기업 불참 속 韓기업 돋보여
스타트업 부스 내내 성황..韓 228개 참여
"포스트 코로나 재정의 할 혁신기술 넘쳐"

[라스베이거스(미국)=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기존 영역에서 벗어나거나, 아니면 다른 분야와 융합하거나.”

2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열린 ‘CES 2022’가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막을 내렸다. 미국 내 코로나19 확산으로 예정보다 일정이 하루 단축됐고 아마존·구글 등 빅테크, GM·웨이모 등 큰 손들이 잇달아 오프라인 불참을 결정했지만 3일간 2300개가 넘는 업체들이 뽐낸 ‘기술력’과 4만 명을 훌쩍 넘은 관람객 등 그 열기만큼은 과거에 못지않았다. 올해 CES에선 로봇과 메타버스, 인공지능(AI), 로보틱스 등 혁신 기술을 넘어 기존 영역에서 벗어나 새로운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글로벌 기업의 이른바 ‘융복합’ 깜짝 발표가 단연 묘미였다는 게 현지 전문가들의 평가다.

세계 최대 전자·가전·정보기술(IT) 전시회인 CES 2022가 개막한 5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 마련된 현대자동차 부스에서 관람객들이 4족 보행 로봇 ‘스팟’의 공연을 지켜보고 있다. (사진=뉴스1)
“가상세계까지 등장”…‘확장’과 ‘연결’이 키워드

한종희 삼성전자(005930) DX부문장(부회장)이 CES 기조연설자로 나서 연결성을 강화한 기술을 강조한 게 대표적이다. 홈어시스턴트 역할을 하는 ‘삼성홈허브’는 스마트싱스로 연결된 여러 가전제품들과 서비스를 활용해 맞춤형 인공지능(AI) 솔루션을 제공한다. 가전 브랜드가 서로 달라도 연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GE, 하이얼, 일렉트로룩스, 아르첼릭, 트레인 등 글로벌 가전업체들과의 연대인 HCA(Home Connectivity Alliance)도 발족한다.

제너럴모터스(GM)는 물류로 발을 넓힌다. 메리 바라 최고경영자(CEO)는 온라인 기조연설을 통해 월마트, 페덱스와의 협업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GM의 전기차로 배송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GM의 스타트업 ‘브라이트드롭’은 물류를 위한 상용차인 EV600을 생산 중이며, 2023년 말 새로운 모델인 EV410을 상용화한다.

올해 처음으로 CES에 나온 현대중공업은 자율운항 소프트웨어 기술로 영역을 넓혀 글로벌 조선 시장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겠다고 선언했다. 1분기까지 세계 최초로 자율주행 대형선박으로 대양 항해를 마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두산그룹도 수소드론부터 협동로봇, 전기굴착기까지 미래 기술을 선보였다. △수소 충전과 발전 △전기차 충전 △스마트팜 운영까지 가능한 트라이젠(Tri-Gen) △해상풍력터빈에서 생산된 전기로 물을 전기 분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과정과 폐자원을 수소화하는 기술 △드론, 무인화·자동화 건설 △물류 기기 등 인간을 둘러싼 모든 분야를 아울렀다.

경계 없는 모빌리티 각축전…“LG·소니가 자동차를?”

LG전자(066570)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미래 자율주행차의 콘셉트 모델 ‘LG 옴니팟’을 소개했다. 조주완 사장이 온라인 행사에서 LG 옴니팟을 타고 등장했다. 옴니팟은 차량 내부 공간을 업무 공간뿐만 아니라 영화감상, 운동, 캠핑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는 개인 공간으로도 활용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소니는 ‘소니모빌리티’를 설립해 전기차 시장에 진출하겠다는 ‘깜짝 선언’을 발표했다. 소니는 전기차 프로토타입 ‘VISION-S 2’를 공개했다. 소니의 부스는 전기차를 보기 위한 방문객들이 끊이지 않았다. 요시다 소니그룹 회장 겸 CEO는 4일(현지시간)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소니는 모빌리티를 재정의하기 위한 창의적인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통신용 반도체 회사인 퀄컴의 전시 부스는 얼핏 보면 완성차 제조사의 부스처럼 보였다. 퀄컴은 완성차 업체와 협력을 맺고 차량용 플랫폼인 ‘디지털 섀시’를 공급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퀄컴은 ‘디지털 콕핏’ 플랫폼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까지 확장했다.

세계 최대 전자·IT 전시회인 ‘CES 2022’ 이 개막 이틀째인 6일(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스타트업 전시공간인 유레카 파크에 설치된 ‘서울관’이 관람객으로 북적이고 있다. ‘서울관’ 참가 기업 수는 25개사로 역대 가장 많이 참가했다. (사진=연합뉴스)
유레카 파크 열기 뜨거워…“韓기업 많이 보이네”

스타트업의 확약도 이번 CES의 특징 중 하나다. 스타트업이 모여 있는 유레카 파크는 메인 전시홀에서 차량으로 이동해야 함에도, 전시기간 내내 방문객이 끊이질 않았다. 언론의 취재는 물론, 업계 관계자들의 미팅이 활발히 진행되는 모습이었다. 스타트업 분야에선 19개국 800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최초로 유럽전시관을 선보였다.

한국 기업들의 활약상도 돋보였다. 한국기업들은 올해 CES에 역대 최대 규모인 500여개사(온라인 포함)가 참가했고 이중 228개사가 스타트업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디지털재단이 운영하는 서울관엔 25개사가 참여했으며 이중 6개사는 CES 혁신상을 수상했다. 삼성전자는 스타트업 C랩(C-Lab) 전시관을 통해 임직원 대상 사내 벤처 프로그램인 ‘C랩 인사이드’의 우수 과제 4개와 사외 스타트업 대상 프로그램인 ‘C랩 아웃사이드’를 통해 육성한 스타트업 9곳을 함께 전시했다. AI, 헬스케어, 메타버스 등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기술을 볼 수 있었다.

게리 샤피로 CTA 회장은 “이번 CES에서 혁신이 실현됐고, 기술들은 산업을 재편하고 의료에서 농업, 지속가능성 등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적으로 시급한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며 “전시장은 우리의 미래를 재정의하고 더 나은 세상으로 만들 제품에 대한 혁신 경험으로 붐볐다”고 평가했다.

손의연 (seyye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