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인신매매국 지정에 반발.."美, 소설 '뿌리' 읽어보았나"

김동현 2022. 1. 9. 13: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북한이 미국 노예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고전 소설 '뿌리'를 거론하며 미국이 북한을 인신매매 국가라고 비난할 자격이 없다고 반박했다.

외무성은 "소설은 원주민 전멸과 흑인 노예무역으로 피 묻은 과거가 곧 미국사회의 역사적 뿌리라는 것을 사료적으로 깊이 있게 보여주고 있다"며 "오늘은 그 뿌리에서 강제노동과 성노예생활, 어린이유괴 등 형형색색의 줄기와 가지들이 뻗어 나와 인신매매의 거목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로 미국사회의 현 실태"라고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 노예 역사 다룬 책 거론하며 "자기 피묻은 행적부터 돌이켜봐야"
북한 인신매매(PG) [제작 이태호] 사진합성,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북한이 미국 노예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고전 소설 '뿌리'를 거론하며 미국이 북한을 인신매매 국가라고 비난할 자격이 없다고 반박했다.

북한 외무성은 9일 홈페이지에 올린 '미국은 그 누구를 시비할 자격조차 없는 인신매매왕국' 제목의 글에서 "미국이야말로 자타가 공인하는 인신매매왕국이며 그 누구를 시비하기 전에 자기의 피 묻은 인신매매 행적부터 돌이켜보아야 할 인권범죄국"이라고 주장했다.

외무성은 "최근 미국이 우리나라와 중국, 러시아, 쿠바, 시리아를 비롯한 반미적인 나라들을 '인신매매국가'라고 걸고 들었다"면서 "인신매매를 논하기에 앞서 터무니없이 남을 헐뜯기 좋아하는 미국의 정치인들에게 장편역사소설 '뿌리'를 읽어보았는가 묻고 싶다"고 지적했다.

1976년 출판된 뿌리는 아프리카에서 노예상인에게 붙잡혀 미국으로 팔려 간 흑인 쿤타 킨테와 후손의 이야기를 저자인 알렉스 헤일리 때까지 200여 년간 풀어가는 이야기로 전미 도서상과 퓰리처상 특별상을 받았으며 TV 드라마로 제작돼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외무성은 "소설은 원주민 전멸과 흑인 노예무역으로 피 묻은 과거가 곧 미국사회의 역사적 뿌리라는 것을 사료적으로 깊이 있게 보여주고 있다"며 "오늘은 그 뿌리에서 강제노동과 성노예생활, 어린이유괴 등 형형색색의 줄기와 가지들이 뻗어 나와 인신매매의 거목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로 미국사회의 현 실태"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반세기 전에 미국 건국의 죄 많은 역사를 파헤친 알렉스 헤일리가 오늘도 살아있다면 '뿌리'의 연속편을 창작하여 세계 최악의 인신매매왕국인 미국사회의 반동성을 다시금 폭로 단죄하였을 것"이라고 비난했다.

미국은 북한을 2003년부터 지난해까지 19년 연속 '최악의 인신매매국가'로 분류했으며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북한의 인신매매를 이유로 인도적 목적이 아닌 대북 자금지원을 금지하라고 지시했다.

bluekey@yna.co.kr

☞ 리조트 "불만 후기 쓰셨나요? 1억원 손배소 갑니다" 위협
☞ 눈 구경에 몰려든 차 수천대 고립…차량 안에서 21명 동사
☞ 고깃집에서 인질극 벌인 남성 "사형시켜 달라"
☞ 낚시꾼, 강릉 방파제서 3m짜리 심해어 '산갈치' 포획
☞ '아름다운 강산' 부른 블루스 보컬 원조, 가수 박광수 별세
☞ 정용진, 정치권 논란 확산후에도 "좌우 없이 다같이 멸공 외치자"
☞ 카불공항 철조망서 미군에 건넨뒤 사라진 아기, 가족 찾았다
☞ 백화점 명품매장 돈부터 내는 '오더 대기'…"결제 취소 불가"
☞  카카오페이 대표ㆍ임원, 회사지분 대량매각해 469억원 차익
☞ '코로나 양성' 10대 아들 차 트렁크에 넣은 엄마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