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업계, 잇단 탈(脫) 타이어 선언..사업다각화 가속

신민준 2022. 1. 9. 1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타이어업계가 사업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9일 타이어업계에 따르면 사업 다각화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업계 1위인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61390)다.

타이어업계가 이렇듯 사업 다각화에 나서는 이유는 경영 상황이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신차용 타이어 수요 감소와 원자재가격·운송비 상승 등 타이어업계를 둘러싼 주변 여건이 녹록지 않다"며 "타이어 업체들은 사업 다각화를 통해 수익성을 끌어올리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타이어, 스트림 전략 통해 신성장 동력 마련..자율주행 사업 첫발
넥센타이어, 벤처캐피탈 자회사 UAM스타트업 투자..신사업 발굴 지속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국내 타이어업계가 사업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신차용 타이어 수요 감소와 원자재 가격·운송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경영 상황이 녹록지 않은 만큼 돌파구를 모색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한국타이어, 조현범 단독체제 개막

9일 타이어업계에 따르면 사업 다각화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업계 1위인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61390)다. 한국타이어는 올해 조현범 회장 단독 체제가 본격적으로 막을 올리면서 신사업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형인 조현식 부회장은 고문으로, 아버지인 조양래 한국앤컴퍼니그룹 회장도 명예회장으로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

한국타이어는 그룹 중장기 성장 전략인 스트림(STREAM) 전략을 기반으로 미래 성장 동력 마련에 집중할 계획이다. 스트림은 △친환경 배터리와 신재생 에너지(Smart Energy) △타이어 관련 핵심산업(Tire & Core biz) △미래 신기술 활용 사업 다각화(Rising Tech) △전동·전장화부품, 기술, 솔루션(Electrification) △로봇, 물류 등 자동·효율화(Automation) △모빌리티(Mobility)를 뜻한다.

한국타이어는 스트림 전략의 일환으로 작년 캐나다 초소형 정밀기계(MEMS) 설계 업체인 프리사이슬리 마이크로테크놀로지(프리사이슬리)를 2045억원에 인수했다.

한국타이어가 인수한 프리사이슬리는 △5세대(5G) 이동통신 △자율주행 솔루션 △의료영상장비 △메타버스(AR·VR) △항공우주 등의 핵심 부품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광학 초소형 정밀기계 설계업체다. 특히 프리사이슬리는 작년 설계한 자율주행차의 라이다(LiDAR) 센서용 초소형 정밀기계의 상용화에도 성공했다. 한국앤컴퍼니로서는 프리사이슬리를 통해 자율주행차 사업에 발을 담근 것이다. 한국타이어는 작년 신사업 발굴과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인수합병(M&A) 전담 자회사 아이앤비코퍼레이션도 설립했다.

원자재가격 상승 등 3중고로 실적 부진

넥센타이어도 사업 다각화에 나섰다. 넥센타이어의 벤처 캐피탈 자회사 넥스트 센추리 벤처스(Next Century Ventures)는 최근 미국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스타트업 안라테크놀로지스에 투자했다. 안라테크놀로지스는 미국에 본사를 두고 미항공우주국·연방 항공국 등과 무인비행장치 교통관리체계시스템(UTM)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넥스트 센추리 벤처스는 지속적으로 미래 모빌리티 신사업 발굴에 나설 방침이다.

타이어업계가 이렇듯 사업 다각화에 나서는 이유는 경영 상황이 악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작년 3분기 국내 타이어업계의 실적은 부진했다. 한국타이어와 넥센타이어의 3분기 영업이익은 각각 1808억원, 1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5%, 77.7% 감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신차용 타이어 수요 감소와 원자재가격·운송비 상승 등 타이어업계를 둘러싼 주변 여건이 녹록지 않다”며 “타이어 업체들은 사업 다각화를 통해 수익성을 끌어올리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민준 (adonis@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