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째 이어온 가게 대 끊기나"..코로나19로 사라져가는 골목의 상징들

황보혜경 2022. 1. 8. 22:3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어느덧 3년째로 접어든 코로나19 사태는 수십 년 역사를 간직해 온 식당들마저 위협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사라져가는 '골목의 상징'들, 황보혜경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1972년, 서울 신당동에 자리 잡아 벌써 3대째 내려온 떡볶이집입니다.

아흔세 살.

한 세기 가까운 세월 동안 갖은 풍파를 견뎌 온 2대 어르신에게도 코로나19는 견디기 힘든 고난입니다.

[정문화 / 신당동 떡볶이집 2대 운영자 : 아흔이 넘었는데 코로나19 같은 일은 처음 겪는 거예요. (손님들이) 안 와요, 코로나19 때문에.]

단골들을 떠올리며 버텼지만, 이대로 가다간 대가 끊길까 걱정입니다.

[백승숙 / 신당동 떡볶이집 3대 운영자 : 하루에 10판도 못 파는 때도 있어요. 4대까지 갈까, 직원도 줄였는데 혹시나 폐업하진 않을까 (불안해요.)]

지난 1961년부터 서울 미근동 골목을 지켰던 돼지갈빗집 주인은 얼마 전, 자식 같은 가게를 내놨습니다.

60년 세월도 코로나19 2년 앞에선 속수무책이었습니다.

지글지글 고기 굽는 소리를 장단 삼아 밤새 왁자지껄하던 시절이 그리워 어르신은 폐허가 된 가게를 찾고 또 찾습니다.

[고수덕 / 전 '서대문통술집' 운영자 : 서운해서 오늘 또 나온 거예요. 공사하는 데 가서 한 번 더 보고 오자고. 코로나19 이후로 한 번도 가겟세를 못 줬어요. 그러다가 살던 집을 팔아서 정리하고….]

인천 대표 상권인 구월동 로데오거리도 생기를 잃은 지 오래입니다.

점심시간인데도 이곳 거리는 한산합니다.

빈집 옆에는 또 빈집.

심지어 그 옆 가게까지도 '임대 문의' 딱지가 붙어있습니다.

[박경수 / 인천 구월동 로데오 상인연합회장 : 21년째 되는 상권이고, 젊은 사람들이 많이 찾았던 곳입니다. (코로나19로) 폐업한 곳이 50곳 정도 됩니다.]

어느덧 3년째로 접어든 코로나19 사태.

'골목의 상징'들마저 하나둘씩 사라져 추억으로만 간직해야 할 위기에 몰리고 있습니다.

YTN 황보혜경입니다.

YTN 황보혜경 (bohk101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싱글몰트위스키 vs 스카치위스키‘ 다니엘이 설명해준다!

대한민국 24시간 뉴스채널 YTN [LIVE 보기]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및 예방접종 현황을 확인하세요.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