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용품점인 줄..'마스크 5만원' 약사의 '충격 과거'

홍민성 2022. 1. 8. 21: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마스크 등을 5만 원에 팔고 소비자의 환불 요구를 거절해 논란을 빚은 대전의 약사가 과거 성인용품을 약국에 들여놔 물의를 빚었던 사실이 알려졌다.

약사 A 씨는 지난해 12월 24일 대전 유성구에 약국을 열었다.

한 민원인은 "마스크 1장을 사기 위해 약사에게 카드를 건넸는데 5만 원이 결제됐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받고 황당했다"고 토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전의 한 약국에 비치된 모든 약 포장지에 5만원 가격표가 붙어 있다. / 사진=뉴스1


마스크 등을 5만 원에 팔고 소비자의 환불 요구를 거절해 논란을 빚은 대전의 약사가 과거 성인용품을 약국에 들여놔 물의를 빚었던 사실이 알려졌다.

약사 A 씨는 지난해 12월 24일 대전 유성구에 약국을 열었다. 그는 마스크, 반창고, 숙취해소제, 두통약 등을 개당 5만 원에 판매하며 폭리를 취했다. 

A 씨의 기행에 민원도 빗발쳤다.

한 민원인은 "마스크 1장을 사기 위해 약사에게 카드를 건넸는데 5만 원이 결제됐다는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받고 황당했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민원인은 "숙취해소제 3병을 사려고 했는데 약사가 15만 원을 결제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A 씨는 "법대로 하라"며 소비자들의 환불 요청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전문약을 취급하지 않아 일반약에서 마진을 남길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약국이 일반약의 가격을 자율적으로 결정해 판매할 수 있는 '판매자가격표시제'를 지킨 것이기 때문에 불법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안하무인격 태도로 인해 최근 A 씨는 여론의 뭇매를 맞았고, 대전시약사회는 지난 5일 A 씨에 대한 징계를 대한약사회에 요청했다.

이 가운데 A 씨의 기행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라는 충격적인 사실이 드러났다.

그는 2019년 충남 천안에서 약국을 운영하면서 '마약·성욕 약', '사카린·마약 밀수 전문' 등의 문구를 약국에 써 붙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약국 벽에 성인용품을 들여놓고 영업하다가 대전지법으로부터 벌금 500만 원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특히 해당 약국과 100m 떨어진 거리에 초등학교가 있었기 때문에 이때도 민원이 빗발쳤던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약사회는 조만간 A 씨에 대한 윤리위원회를 열 예정이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경제지 네이버 구독 첫 400만, 한국경제 받아보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