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보드 달린 폰'..한시대 풍미한 블랙베리 역사 속으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키보드 달린 폰'이라는 명칭과 함께 독특한 외부 디자인, 간편한 메시지 소프트웨어 등으로 글로벌 사용자들의 사랑을 받은 블랙베리가 모바일 관련 서비스를 중단했다.
블랙베리는 2015년 이후 모바일폰을 생산을 중단한 상태로, 사실상 한 시대를 풍미한 하나의 모바일 브랜드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 셈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5년부터 디바이스 생산 중단한 것으로 알려져
사실상 '역사속으로'
애플, 안드로이드 등장으로 점유율 급락
현재는 보안 SW 업체
[파이낸셜뉴스] '키보드 달린 폰'이라는 명칭과 함께 독특한 외부 디자인, 간편한 메시지 소프트웨어 등으로 글로벌 사용자들의 사랑을 받은 블랙베리가 모바일 관련 서비스를 중단했다. 블랙베리는 2015년 이후 모바일폰을 생산을 중단한 상태로, 사실상 한 시대를 풍미한 하나의 모바일 브랜드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 셈이다. 블랙베리는 모바일 디아비스 업체가 아닌 사이버 보안 업체로서 생존을 이어나가고 있다.
8일 IT매체 테크크런치 등에 따르면 블랙베리는 지난 5일(현지시간) 남아 있는 블랙베리 디바이스와 OS(운영체제), 블랙비리 OS 7.1과 블랙베리 10 등에 대한 서비스 지원을 중단했다. 남아 있는 디바이스와 무관하게 블랙베리라는 모바일 브랜드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 셈이다.
테크크런치는 블랙베리의 마지막을 두고 과거 블랙베리라는 브랜드가 애플과 안드로이드에 앞서 얼마나 유명했는지 조명했다. 테크크런치는 "지금은 블랙베리가 얼마나 흔했는지 믿기 힘들 것이다"며 "당시 사용자들, 특히 비즈니스 유저들 사이에서는 외부 키보드와 메시징 서비스 조합을 좋아한 사람들이 많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블랙베리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애플과 안드로이드의 본격 터치스크린 스마트폰 등장과 함께 가라앉기 시작했다.
회사는 실제로 지난 2016년 사이버 보안 업체로서의 공식적인 전환을 발표했다. 현재는 기업과 정부 기관에 보안 소프트웨어를 판매하는 업체로 자리매김, 시가총액 50억달러(6조200억원)가량을 기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 #삼성 #블랙베리 #모바일폰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진호, 故김새론 절친 녹취록 공개 "사망 원인은 남편 폭행·협박"
- 이혼 8개월만에 남친 딸 낳았더니…"가족관계증명서엔 '前남편 딸'이라는데 어쩌죠?"
- '女 폭행' 황철순, 출소 후 아내 사생활 폭로 "성형·男과 파티"
- "눈 떠보니 알몸"…대리기사, 손님 성폭행·불법 촬영
- 이병헌 "'승부' 본 ♥이민정과 子, 나 아닌 유아인 장면 슬프다고"
- 정유라, 6억9000만원 빌린 뒤 안 갚아...담보가 '최순실 태블릿'
- "남편이 집에 안 온다" 실종신고 60대, 숨진채 발견된 의외의 장소
- '신사의 품격' 유명 여배우, 피부과 시술 중 2도 화상…"의사 5000만원 배상"
- 장영란 초기 치매 진단 받았다 "언어 기능 떨어져"
- '1500원 커피숍'서 상견례한 예비부부 "손님들 좀 조용히 시켜주세요" [어떻게 생각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