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햄버거값 인상.. 아무리 억제해도 오를 놈은 오른다

이영준 2022. 1. 8. 08: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해 들어 커피·햄버거를 비롯한 식품 물가가 줄줄이 오르기 시작했다.

정부가 설을 앞두고 물가 잡기 총력전에 나섰지만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과 원료값 상승에 따른 물가 인상을 틀어막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인다.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외식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4.8% 오르는 동안 커피값 인상률만 0%를 기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 13일부터 100~400원 인상
동서식품 14일부터 가격 7.3% 올려
정부, 물가 안정 정책 총력전 펼쳐도
원재료값 인상으로 물가 인상 못막아
스타벅스 코리아가 오는 13일부터 일부 음료 가격을 100∼400원씩 인상한다.스타벅스에 따르면 현재 판매 중인 음료 53종 중 카페 아메리카노, 카페 라떼를 포함한 46종의 가격이 인상된다. 스타벅스의 음료 가격 인상은 2014년 7월 이후 약 7년 6개월 만이다. 사진은 7일 서울 시내 한 스타벅스 매장에서 음료 가격 인상 안내문을 부착하는 모습. 2022.1.7 뉴스1

새해 들어 커피·햄버거를 비롯한 식품 물가가 줄줄이 오르기 시작했다. 업계는 원료값 상승에 따른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말한다. 정부가 설을 앞두고 물가 잡기 총력전에 나섰지만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과 원료값 상승에 따른 물가 인상을 틀어막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인다.

스타벅스코리아는 13일부터 음료 46종의 가격을 100~400원씩 인상한다고 7일 밝혔다. 2014년 7월 이후 7년 6개월 만이다. 카페 아메리카노·카페 라테·카푸치노 등 23종은 400원, 캐러멜 마키아또·스타벅스 돌체 라테·더블 샷 등 15종은 300원, 프라푸치노 등 7종은 200원, 돌체 블랙 밀크티 1종은 100원 오른다. 스타벅스는 “최근 급등한 원두 가격 등 각종 원·부재료와 코로나19로 인한 국제 물류비 상승 등 가격 압박 요인이 누적돼 음료 가격을 올리게 됐다”고 설명했다.

커피는 최근 1년 새 유일하게 물가가 오르지 않은 품목이었다.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외식 물가가 전년 동월 대비 4.8% 오르는 동안 커피값 인상률만 0%를 기록했다. 기존 수입해 둔 원두 재고가 남아 있어 코로나19 속에서도 가격 인상을 피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무섭게 치솟는 국제 원두 가격을 더는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되자 결국 가격 인상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커피를 주력 판매하는 동서식품도 14일부터 커피 제품 가격을 평균 7.3% 올리기로 했다. 스타벅스와 마찬가지로 2014년 7월 이후 처음이다. ‘맥심 오리지날 170g’ 리필제품 출고 가격은 5680원에서 6090원으로, ‘맥심 모카골드 커피믹스 1.2㎏’은 1만 1310원에서 1만 2140원으로, ‘맥심 카누 아메리카노 90g’은 1만 4650원에서 1만 5720원으로 오른다. 동서식품 관계자는 “지난해 4월부터 급등한 국제 커피 가격과 코로나19 이후 상승한 물류비용, 주요 원재료 가격 등이 반영됐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20일 2022년 경제정책방향에서 공공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겠다는 등 물가 안정화 대책을 내놨다. 지난 6일 발표한 설 민생안정대책에서도 농축산식품 공급량을 늘리고 할인쿠폰을 제공해 체감 물가를 최대한 안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그럼에도 커피뿐만 아니라 가격이 오르는 품목은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고 있다. 햄버거 업계도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버거킹은 7일부터 버거류 25종을 포함한 총 33종의 가격을 평균 2.9% 올렸다. 와퍼(단품)는 6100원에서 6400원으로, 와퍼 주니어는 4300원에서 4400원으로 각각 인상됐다. 버거킹 관계자는 “해외 생산·물류 대란에 따른 원자재 가격 급등, 최저임금 인상 등 제반 비용 상승으로 불가피하게 내린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롯데GRS가 운영하는 롯데리아도 지난달 경영비용 증가를 이유로 제품 판매가격을 평균 4.1% 올렸다.

정부의 설 성수품 물가 안정화 노력을 비웃듯 과일값도 치솟고 있다. 딸기는 성수품은 아니지만 최근 소매가격이 2602원으로 한 달 전보다 27.1% 올랐다. 1년 전보단 54.8%, 평년보단 70.5% 급등했다.

세종 이영준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