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종전선언 침묵하더니.. 北 '미사일 추적 회피' 능력 키웠다 [박수찬의 軍]

박수찬 2022. 1. 8. 0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5일 자강도 지역에서 극초음속미사일을 가상 표적을 향해 발사하고 있다. 노동신문·뉴스1
북한 미사일 위협이 갈수록 날카롭고 매서워지고 있다. 

문재인정부의 종전선언 제안에 실질적인 호응을 하지 않은 채 한미 연합군의 감시정찰 및 요격망을 돌파, 지상 표적을 정밀타격하려는 의지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2019년 모습을 드러낸 KN-23 고체연료 탄도미사일, 지난해 등장한 열차 발사 미사일에 이어 지난 5일 북한이 쐈다고 밝힌 극초음속 미사일은 한미 연합군에 치명적 일격을 가하겠다는 북한의 집념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군은 “극초음속 비행체 기술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이 지난 5일 쏜 것은 극초음속 미사일이 아닌 탄도미사일이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북한의 능력과 의도를 제대로 보지 못하면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단계별 미사일방어체계를 실시간 융합해 대응하는 킬웹(Kill Web) 전략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는 이유다.
북한이 만든 열차 발사 탄도미사일이 열차에서 발사되고 있다. 노동신문·뉴스1
◆군 “이미 개발한 탄도미사일”…“북한 의도 간과” 반론도

군은 북한이 주장하는 극초음속미사일의 사거리, 측면기동 등 성능이 과장됐다는 평가다. 국방부 관계자는 7일 북한 미사일에 대해 “속도는 마하 6, 고도는 50㎞ 이하, 비행거리는 북한이 주장하는 대로 700㎞는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일단 평가한다”

국방부 산하기관 관계자는 “우리나라로 말하면 개발 완료된 기동 탄두 재진입체(MARV) 탄도미사일로 본다”며 “측면기동이라는 것은 생존성을 높이기 위해 똑바로 날아가면서 지그재그로 회피 기동하는 것을 말한다. 북한이 주장한 측면기동은 선회기동으로 표현하는 게 정확하다”고 설명했다. 

2017년 시험발사됐던 현무-2C와 유사한, 기동형 날개를 붙여서 정확도를 높인 탄도미사일이라는 것이다. 

군 당국이 탄도미사일이라고 설명했지만, 일각에서는 여전히 의문을 제기한다. 극초음속활공체(HGB)는 글라이더 모양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미국이 개발중인 C-HGB처럼 북한이 5일 쐈던 미사일과 비슷한 원뿔형도 있다.

북한이 글라이더형과 원뿔형을 함께 개발하면서 극초음속활공체 기술 축적을 진행하는 단계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한의 지난 5일 발사 당시 측정된 속도나 고도도 해석에 따라 다르게 판단할 여지가 있다. 
북한이 5일 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왼쪽)과 지난해에 발사한 화성-8형(오른쪽). 탄두부 모양이 다소 다른 모습이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극초음속미사일은 1단 추진체에 의해 고도 100㎞ 이상의 하늘로 올라간 뒤 활공체가 분리, 대기권 재진입과 풀업 기동(상하 이동)을 진행한다. 이후 표적까지 날아가서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낙하한다.

북한이 5일 쏜 미사일 고도는 50㎞. 활공체가 분리되는데 필요한 높이까지 올라가지 못했다. 일반적인 극초음속미사일 특성과 비교하면 “실패했다”고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실제 거리로 발사해 일본 배타적경제수역(EEZ)을 침범할 경우 벌어질 정치적 파장을 우려해 비행거리를 줄이는 변칙적 시험을 했을 가능성, 활공비행제어 등 각 부분이 제대로 기능하는지 실증하는데 주력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북한이 극초음속미사일이라 주장하는 미사일의 1단 추진체가 화성-12형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인 것도 이같은 의혹을 더한다.

사거리가 5000㎞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화성-12형은 추력이 85t으로 기술적 신뢰성이 확보된 미사일이다. 극초음속활공체가 일반 탄두보다 더 크고 무겁다는 점을 감안해도, 활공체를 고도 100㎞ 상공에 올려놓기에는 충분한 수준이지만, 이번 발사에서 고도는 50㎞였다. 

북한은 과거 장거리 미사일 발사 당시 발사각을 높여 비행거리를 줄인 ‘고각발사’를 여러 차례 진행하는 등 변칙적 발사 경험을 갖고 있다. 이번에도 고도나 속도를 줄이고 세부 기술실증에 주력하는 방식으로 시험했을 가능성도 있다.

남는 의문은 하나다. 북한은 미사일 추진제를 액체에서 고체로 전환하고 있다. 그런데 극초음속미사일은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화성-12형을 1단 추진체로 쓴다. 최근 추세와 맞지 않는다. 왜 그럴까.
평양에서 지난해 10월11일 열린 국방발전전람회에 전시된 무기 중 화성-8형 극초음속미사일(왼쪽 세번째 미사일)이 눈에 띈다. 노동신문·뉴스1
북한이 미사일 발사 당시 밝힌 ‘연료의 암풀(amful)화’는 그 답을 찾는 실마리가 될 수 있다. 

암풀화는 액체 연료가 담긴 용기를 미사일에 장착하는 것이다. 액체연료는 부식성이 강해 미사일 발사 전 주입을 해야 해 발사 준비에 시간이 많이 걸려 적에게 포착될 가능성이 높다. 

암풀화된 연료는 미사일 내에서 수십일 동안 보관할 수 있다. 그만큼 신속하게 쏠 수 있어 적에게 탐지될 위험도 낮춘다.

암풀화는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러시아가 1970~80년대 개발했다.

러시아는 이스칸데르 미사일을 만들면서 액체연료를 고체로 빠르게 바꿔 암풀화 기술을 본격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북한은 암풀화 기술을 극초음속미사일에 적용했다.
북한이 개발한 신형전술미사일이 가상 표적을 향해 발사되고 있다. 조선중앙TV·연합뉴스
북한에서 고체연료 지상발사 미사일은 북극성-2형 준중거리미사일(MRBM)과 KN-23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다. 북극성-2형은 직경이 1.6m, KN-23은 1m 이하다. 일반 탄두보다 크고 무거운 극초음속활공체를 장착하기에는 직경이 다소 부족할 수 있다. 고체연료는 신속한 발사가 가능하나 추진력은 액체연료보다 낮다. 

반면 액체연료는 추진력이 고체연료보다 강해 장거리 발사에 유리하다. 극초음속 활공체를 가능한 멀리 보내려면 1단 추진체가 강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형 발사체가 더 적절하다. 

화성-12형은 직경이 1.7m에 이르고 추력도 강하다. 다만 액체연료의 특성상 발사준비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북한은 암풀화 기술을 통해 발사 시간을 단축하면서 정확도와 사거리를 높이려 시도했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액체연료를 고체로 대체하려는 추세를 감안하면, 대출력 고체연료 엔진 탑재 전에 기술적 특성을 검증하는 과도기적 성격의 무기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고성능 감시정찰 및 지휘통제체계 필요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 발사는 2019년 등장한 KN-23과 지난해 시험발사된 열차 탑재 미사일의 성격과 맞닿아 있다.

한미 연합군의 감시망을 피해 신속하게 미사일을 쏘고, 변칙기동을 통해 요격시도를 회피한 뒤 남한 내 표적을 정밀타격하는 것이 북한의 의도다. ‘더 은밀하게, 더 빠르게, 더 정확하게’를 통해 비대칭 무기의 비대칭성을 극대화하려는 모양새다.
북한이 지난해 9월 28일 자강도 지역에서 극초음속미사일 화성-8형을 발사하고 있다. 노동신문·뉴스1
이같은 기조가 뚜렷해지는 상황에서 극초음속활공체의 성격이 어떤 지는 큰 의미가 없다. 

영국 국제전략연구소(IISS) 조셉 뎀시 연구원은 “북한이 개발 중인 극초음속미사일이 HGV인지 MARV인지는 중요하지 않다”며 “어떤 경우든 회피기동이 가능해 기존 미사일방어체계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이 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밝힌 국방과학발전 무기체계 개발 5개년 계획에 따라 4년 후에 화성-12형에 기반한 극초음속미사일의 실전배치를 선언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신속성과 정확성이 대폭 향상된 KN-23, 열차 발사 미사일, 극초음속미사일이 한반도 내 주요 표적을 겨누게 되는 상황이 벌어질 위험도 있다. 

발사 준비 및 비행시간이 짧아지는 것은 한미 연합군에게 요격할 여유를 빼앗는 것과 같다. 스커드B 미사일이 발사돼 서울을 타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5분 미만. 고체연료 미사일이나 극초음속미사일이 수도권으로 날아온다면, 그 시간은 스커드B보다 더 짧다.

군은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응할 킬 체인(Kill Chain)과 미사일방어체계가 실효를 거둘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는 대목이다.

이와 관련해 킬 웹(Kill web) 개념이 주목을 받고 있다. 탐지, 통신, 처리, 타격 등의 킬 체인 영역을 순차적으로 가동하는 대신 동시에 움직이도록 킬 웹으로 재구성해 짧은 시간 내 작전을 펼치자는 것이다.
한국 공군 패트리엇 요격미사일이 발사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김종대 연세대 통일연구원 객원교수는 지난 22일 제2차 세종국방포럼에서 “극초음속 미사일 등으로 전장의 템포가 빨라짐에 따라 기존의 직렬식 킬 체인을 동시에 작동하는 평행식 킬 웹으로 재구성해야 한다”며 “우리의 찾는 능력을 발전시켜 북한의 숨기는 능력을 제거하는 것이 군사력 건설의 핵심 목표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킬 웹을 구현하려면 고성능 감시정찰 및 지휘통제체계가 필요하다. 북한 미사일 동향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한 뒤, 이를 지휘부와 요격부대에 실시간 전달해야 킬 웹 개념이 가동될 수 있다. 

대용량 고속 데이터링크, 정찰위성과 무인기, 인공지능(AI) 기반 정보융합체계, 의사결정지원체계 등이 갖춰져야 한다.

군은 지난 5일 북한 미사일 발사 직후 말을 아끼다가 7일 제원을 일부 공개하며 적극 반박했다.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 성공 주장에 따른 우려가 커지면서, 서둘러 진화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한국 공군 천궁 요격미사일이 발사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북한의 미사일 능력을 과대평가할 필요는 없다. 상대방의 전략능력을 낮춰서 평가하는 것은 국제정치에서도 볼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북한의 의도까지 과소평가해서는 안된다. 한미 연합군의 방어망을 무슨 수를 써서라도 돌파하겠다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집념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비롯한 전략무기를 만든 원천이었다. 

극초음속미사일도 마찬가지다. 북한이 미사일 개발 역량을 집중한다면, 수년 뒤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 알 수 없다. 충분한 대비가 필요한 이유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