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하베스팅 기술'로 감전사고 막는다

오종우 2022. 1. 7. 22:2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창원] [앵커]

최근 5년 동안 감전 사고로 다친 사람이 2천 명이 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특히 초고압이 흐르는 배전반 문을 열어 점검하다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배전반을 열지 않고도 전압을 측정하고 무선으로 송신 받을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

오종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2만 2천9백 볼트의 초고압이 들어오는 50가구 규모 주택단지 배전반입니다.

일주일에 한두 차례 배전반 문을 열고 점검을 하는데, 감전 사고가 늘 걱정입니다.

[장용해/한국수자원공사 에코델타시티사업단 :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거나 아니면 모선에 남아있는 전기 때문에 감전이 될 우려가 많이 있어서."]

배전반 문에 붙은 모니터로 전압 세기를 알 수 있습니다.

전압이 남아 있는 상태에 문을 열면 경고음을 냅니다.

["통전 중입니다! 접근하지 마세요!"]

배전반 안 송신기 센서가 전압을 측정해 무선통신으로 모니터에 전달하는데, 여기에 필요한 전기는 모두 배전반 고압선 주변에 생긴 전하를 축적해 생산한 것으로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버려지는 에너지를 수집해 전기로 바꿔 쓰는 이른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입니다.

[배준한/박사/한국전기연구원 성과확산본부 : "전자기장 안에 금속의 정전 집진판을 놓게 되면 거기에 전하를 축적하게 되고, 그 축적된 에너지를 이용해서 우리가 스스로 발전해서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한국전기연구원은 원천기술을 특허출원하고, 중소기업에 기술을 이전해 수출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김종철/기술이전 기업 대표 : "전 세계적으로 이런 기술이, 하베스팅 기술이 없기 때문에. 이 기술을 세계적으로 보급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많은 해외에서도 호응하지 않겠나 (생각합니다.)"]

최근 5년 동안 전국의 감전사고 부상자는 2천 415명, 사망자도 94명에 이릅니다.

KBS 뉴스 오종우입니다.

촬영기자:서다은

오종우 기자 (helpbell@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