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뜻은 못 이뤘지만'..이봉창 재평가 목소리

임상범 기자 2022. 1. 7. 20: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제 강점기였던 1932년, 이봉창 의사가 일본 도쿄에서 일왕을 향해 수류탄을 던졌습니다.

그래서 의거 90주년을 맞아 이봉창 의사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송성희/이봉창 역사울림관 : 이봉창 의사의 실패가 있었기 때문에 폭탄도 성능도 더 좋게 하고, 그리고 시험까지 합니다. 이봉창 의사의 의거가 없었더라면 윤봉길 의사도 없었을 수도 있어요.]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일제 강점기였던 1932년, 이봉창 의사가 일본 도쿄에서 일왕을 향해 수류탄을 던졌습니다. 비록 뜻을 이루지는 못했지만, 독립운동의 큰 물꼬를 튼 의거였습니다. 그래서 의거 90주년을 맞아 이봉창 의사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임상범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기자>

임시정부를 찾아온 정체불명의 청년.

밀정이라는 의심도 받았지만, 은밀히 서약서를 쓰고 한인애국단 1호 단원이 된 이봉창.

차라리 일본인으로 살겠다며 일본 땅에서 일용직을 전전하던 그는 일왕 즉위식을 보러 갔다가 조선인이라는 이유로 투옥되자, 자신이 누구인지 자각하게 됩니다. 

[한시준/독립기념관장 : 고민을 하죠. 내가 일본인으로 살고 싶어 해도 일본 사람들은 나를 일본인으로 봐주지 않는구나.]

삶의 목표를 바꾸고는 임시정부가 있던 상하이로 망명합니다. 

[홍인근/이봉창 평전 저자 : 삼십 년 동안 육신의 쾌락은 다 했습니다. 이제 영원한 쾌락을 얻어야 되는데. 김구 선생 말씀을 듣고 그렇게 하겠습니다 하는 거예요.]

준비를 끝낸 이봉창은 일본으로 되돌아가고,

[홍인근/이봉창 평전 저자 : 일왕이 1월 8일 날 요요기 연병장에서 육군 관병식을 한다. 그런 얘기를 듣고 아 그날 거사하면 되겠구나.]

1932년 1월 8일, 도쿄 경시청 앞을 지나는 일왕의 마차 행렬에 수류탄을 던집니다.

[송성희/이봉창 역사울림관 : 이봉창 의사는 성공한 줄 알았어요. 왜냐하면 엄청 큰 소리가 났거든. 근데 위력은 너무 약했던 거야.]

뜻을 이루지 못했지만, 그의 거사는 실패도, 끝도 아니었습니다.

우리의 독립 의지를 만방에 알렸고 석 달 뒤 윤봉길 의사의 의거로 이어졌습니다.

[송성희/이봉창 역사울림관 : 이봉창 의사의 실패가 있었기 때문에 폭탄도 성능도 더 좋게 하고, 그리고 시험까지 합니다. 이봉창 의사의 의거가 없었더라면 윤봉길 의사도 없었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이 의사는 서서히 잊혀 갔습니다.

[한시준/독립기념관장 : (독립운동은) 성공한 것보다 성공하지 못한 것들이 훨씬 많거든요. 목표로 했던 일왕을 죽이지 못했다고 해서 실패한 것으로, 역사적인 가치가 덜한 것으로 그런 생각들을 갖기 때문에…]

건국훈장 2등급인 대통령장에 머문 이 의사의 훈격부터 윤봉길 의사와 같은 1등급 대한민국장으로 올리자는 주장도 좀처럼 힘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한 세기 전 식민지 청년으로 살며 취업도, 집 장만도, 결혼도 못 한 채 요즘 N포 세대 못지않은 좌절과 울분을 맛보았던 모던보이, 윤봉길이 따르고자 했던, 그러나 정작 윤봉길의 그늘에 가려 조명받지 못했던 이봉창의 삶과 정신.

이제라도 우리 후손들이 기리고 새겨야 하지 않을까요.

(영상취재 : 조창현·이승환, 영상편집 : 김인선, CG : 홍성용·성재은·전해리, 제작 : 비디오머그, 자료 : 이봉창 역사울림관)

임상범 기자doongle@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