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에 동서식품까지..연초부터 국민음료 '커피' 가격 도미노 인상

이소라 2022. 1. 7. 2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연초부터 '국민음료'인 커피 가격이 잇따라 인상되고 있다.

커피전문점 1위인 스타벅스와 믹스커피 1위인 동서식품은 각각 다음 주부터 커피 가격을 인상한다고 7일 밝혔다.

하지만 원두 가격 상승으로 커피값 인상에 나선다고 밝힌 스타벅스에 대해선 곱지 않은 시각도 나온다.

이에 대해 스타벅스에선 원두뿐 아니라 코코아, 설탕 등 원자재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고 물류비도 올라 인상 요인은 차고 넘친다는 설명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스타벅스,  음료 46종 각각 100~400원 인상
동서식품, 맥심·카누 등도 출고가 7.3% 인상
지난해부터 원두 가격 급등.. "원가 압박 부담"
커피 전문점 스타벅스가 음료가격을 인상하기로 한 7일 오후 서울 중구의 한 스타벅스 매장 앞을 시민들이 지나가고 있다. 뉴시스

연초부터 '국민음료'인 커피 가격이 잇따라 인상되고 있다. 식품업계에선 원·부자재 비용 상승을 인상 배경으로 내세웠지만 서민들의 부담은 한층 더 가중될 전망이다.

커피전문점 1위인 스타벅스와 믹스커피 1위인 동서식품은 각각 다음 주부터 커피 가격을 인상한다고 7일 밝혔다. 소비자 반응 체크에 나선 다른 경쟁사들도 커피 가격 인상 시점을 저울질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두 가격·물류비 상승… 8년 만에 커피값 인상으로

동서식품이 오는 14일부터 맥심과 카누 등 대표 커피 제품 가격을 평균 7.3% 인상한다. 사진은 7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맥심 커피 제품의 모습. 연합뉴스

이날 스타벅스코리아는 13일부터 53종의 음료 중 46종에 한해 각각 100~400원씩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카페 아메리카노와 카페 라테, 카푸치노 등 23종은 400원, 카라멜마키아토 등 15종은 300원, 프라푸치노 등 7종은 200원, 돌체 블랙 밀크 티는 100원 인상된다. 스타벅스의 가격 인상은 2014년 7월 이후 7년 6개월 만이다.

90%의 국내 믹스커피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는 동서식품도 14일부터 맥심 등 커피 제품의 출고가를 평균 7.3%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맥심 모카골드 커피믹스(1.2kg)와 맥심 카누 아메리카노(90g)는 출고가가 각각 7.3%씩 상향 조정된다.

양사는 이번 가격 인상에 대해 "지난해 4월부터 급등한 원두 가격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국제 물류비 상승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미국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아라비카 원두 선물은 파운드(약 454g)당 2.5달러까지 올라 10년 만에 최고가를 기록했다. 원두 가격은 세계 원두의 40%를 담당해온 브라질에서 계속된 가뭄과 한파로 원두 수확량이 급감하면서 치솟았다. 여기에 세계 2대 생산국인 베트남도 코로나19로 물류 이동이 제한된 데다, 콜롬비아 또한 정치적 이유로 수출길이 막히면서 물류비가 상승했다.

양사는 약 8년간 가격 압박 요인을 내부적으로 흡수해왔지만, 더 이상은 감당하기 힘들다는 입장이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매장 운영 효율화 및 직간접적 비용 절감으로 버텨왔으나 가격 압박 요인이 계속 누적돼 가격을 올리게 됐다"고 말했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김밥, 치킨, 피자 등 38개 외식물가 품목의 가격이 오른 가운데, 1년 전보다 물가가 오르지 않은 품목은 커피가 유일했다.


원두 원가 비중 적은데… 그래도 올려야 하는 이유

7일 서울 시내 한 스타벅스 매장 계산대에 음료 가격 인상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스1

하지만 원두 가격 상승으로 커피값 인상에 나선다고 밝힌 스타벅스에 대해선 곱지 않은 시각도 나온다. 통상 커피 가격에서 10%에 불과한 원두 원가 비중을 감안하면 납득하기 어렵다는 지적에서다. 이에 대해 스타벅스에선 원두뿐 아니라 코코아, 설탕 등 원자재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고 물류비도 올라 인상 요인은 차고 넘친다는 설명이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런던과 뉴욕거래소 시세를 종합한 결과 ,지난해 원두는 전년 대비 31%, 코코아는 13%, 설탕은 40% 가격이 올랐고, 중국 상하이(上海)와 LA-부산 해상 운임도 증가했다"며 "올해도 원자재 가격과 소모품, 커피공기구까지 전방위적으로 대부분의 비용이 5~15%가량 오를 전망"이라고 말했다.

1위 업체들이 잇따라 커피값을 올리면서 경쟁사들의 가격 인상은 사실상 시간문제로 보인다. 실제 커피 프랜차이즈 업체인 투썸플레이스와 이디야에선 "(아직까지) 인상 계획이 없다"고 밝혔지만 폴바셋이나 할리스는 "가격 인상을 내부 검토 중이다"라고 귀띔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운영 구조나 시장 전략에 따라 각 사의 가격 정책은 다를 수 있지만, 시장 평균가를 주도하는 1위 업체가 가격을 올린 만큼 시장가격에 진입할지 말지를 두고 저마다 검토에 들어갔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소라 기자 wtnsora21@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