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티투에어-DMI, 해상 드론 배송 기술력 협업하기로

백봉삼 기자 2022. 1. 7. 13: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ES2022서 양해각서 체결.."항공 배송 생태계 구축"

(지디넷코리아=백봉삼 기자)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포티투닷의 드론 자회사 포티투에어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이 수소연료전지 드론을 활용한 해상 배송 서비스를 위해 손 잡았다.

포티투에어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 'CES2022'에서 DMI와 수소연료전지 무인항공기(UAV)를 이용한 특수 해상 배송 기술 공동 개발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맺었다고 밝혔다. 드론 배송이 미래 배송 시장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만큼, 협력을 통해 업계 선두주자가 되겠다는 목표다.

포티투에어와 DMI는 이번 MOU를 통해 포티투에어만의 수하물 하강 기술과 DMI의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드론 기술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사는 수소 연료 전지 전력 시스템, 자동화/물류 소프트웨어, 화물 처리 시스템 등 여러 기술 프로세스를 지정, 통합해 새로운 항공 배송 생태계를 구축하고 비즈니스 확장에도 나설 계획이다.

42air

포티투에어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해상 드론 업체다. 현재 해상에 정박해 있는 화물선에 소포와 서류 등을 배송하는 기술 및 서비스를 연구 개발하고 있다.

포티투에어 관계자는 "뉴올리언스 근처의 미시시피강에 정박해 있는 화물선뿐만 아니라 로스앤젤레스 해상의 선박이나 이동 중인 화물선 그리고 장거리인 멕시코만의 석유 해양시추선에도 DMI의 수소연료전지 드론을 활용한 배송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드론은 해상 배송 시 일반 운송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낮추는 최적의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포티투에어는 배송할 물건을 픽업하거나 목적지에 내려놓을 때 지면이나 화물선에 드론을 낮추거나 낙하산을 사용하지 않고, 드론에 장착된 케이블을 목표 지점에 길게 내려놓는 독특한 기술(winch)을 개발했다. 이는 기존 배송 시스템보다 화물을 받는 사람에게 더욱 안전할 뿐만 아니라, 드론이 일일이 착륙하지 않아도 돼 지면의 장애물로부터 자유롭다.

DMI 수소연료전지 드론의 최대 장점은 비행시간이다. 수소연료전지 드론은 한번 충전에 2시간 이상의 비행이 가능하다. 이는 기존 드론 비행 시간의 4배에 달한다. 또 기존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4~5배 에너지 밀도가 높아 배송에 적합하다는 평가다.

이두순 DMI 대표는 "드론 시장이 확대되는 만큼 DMI의 수소연료전지 드론은 20~30분에 불과한 배터리형 드론의 한계를 극복해 장시간 비행할 수 있다"면서 "포티투에어와 함께 이 기술이 단지 미래 기술이 아닌, 현재 일어나고 있다는 것과 드론 배송에 매우 유망한 기술임을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포티투에어의 대표인 헹크 구슨(Henk Goosen)은 "42air는 해상 운송의 경제성과 편의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면서 "DMI와의 협력을 통해 안전하면서도 친환경적인 배송으로, 바다 위 선박에 오랫동안 갇혀 지내야 하는 승무원의 삶을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포티투에어는 해상 배송 드론 알고리즘 개발을 바탕으로, 모회사 포티투닷 모빌리티 통합 플랫폼 유모스(UMOS, Urban Mobility Operating system)를 통한 항공 배송 등의 서비스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유모스는 포티투닷이 구현하고자 하는 도심형 운영체제다. '모든 것이 스스로 움직이고 끊김 없이 연결된 세상을 만든다'는 기술 방향성에 맞춰, 스스로 움직이는 자율주행 기술과 최적의 이동을 제공하는 모빌리티 플랫폼이다. 다양한 교통 수단 연계부터 앱 하나로 차량 호출·공유, 항공, 물류, 배송, 전자상거래 및 통합 결제 서비스 지원 등을 목표로 한다.

헹크 구슨 대표는 "해상운송의 자율주행 알고리즘을 정교하게 발전시켜 향후 유모스 속에서 다른 딜리버리 모빌리티와 연계하거나 인구 밀집지역 등 어디에서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드론 배송 플랫폼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봉삼 기자(paikshow@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