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尹이 단일화 주제로 만나자고 하면 만날 수 있다"

최동현 기자 2022. 1. 6. 23:4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6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에 대해 "정치인들끼리 만나자고 하면 만날 수는 있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이날 KBS 뉴스9 인터뷰에서 '윤석열 후보가 단일화를 주제로 만나자고 하면 안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 "거기서 (단일화) 협의를 하느냐 안 하느냐 그건 또 다른 문제 아니겠나" "밥만 먹고 헤어질 수도 있는 것"이라는 단서를 달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단일화는 없다"→"모두 국민 선택에 달린 것" 입장 변화 기류
이재명 '탈모 건보' 공약에 쓴소리.."건보 아닌 복제약이 해답"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2.1.6/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서울=뉴스1) 최동현 기자 =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는 6일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에 대해 "정치인들끼리 만나자고 하면 만날 수는 있다"고 말했다. 안 후보가 단일화를 주제로 윤 후보와 만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 후보는 이날 KBS 뉴스9 인터뷰에서 '윤석열 후보가 단일화를 주제로 만나자고 하면 안 만날 것이냐'는 질문에 "거기서 (단일화) 협의를 하느냐 안 하느냐 그건 또 다른 문제 아니겠나" "밥만 먹고 헤어질 수도 있는 것"이라는 단서를 달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안 후보는 자신을 지지하는 응답자의 55%가 '단일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KBS 여론조사 그래프를 가리키면서 "국민의힘 쪽에서는 오히려 단일화해야 한다는 그런 의견들이 굉장히 많으시다"며 "사실 모두 국민들의 선택이다"라고 단일화 국면이 시작되면 협상에 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남겼다.

그는 "국민들께 선택권을 드려서 과연 후보들 중에 누가 도덕적으로 문제가 없는지, 가족 문제가 없는지, 또 비전이 정확한지, 전 세계적인 흐름에 대한 글로벌 시각을 가지고 있는지, 실제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적인 역량이 있는지 이런 걸 가지고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맞는다"고 자신의 경쟁력을 강조하기도 했다.

다만 안 후보는 '정권교체가 우선인가, 아니면 본인이 국민 앞에서 후보로 나서는 것이 우선인가'라는 질문에 "저는 제가 정권교체를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국민 여론이 형성된다면 단일화 협상에 나설 수 있지만, '대선 완주'라는 기본 원칙은 변함없이 고수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안 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문재인 정부에 대한 비판도 쏟아냈다.

그는 이재명 후보의 '탈모 건강보험 적용' 공약에 대해 "너무 포퓰리스트적 접근"이라며 "문제는 건강보험 재정이 갈수록 악화된다. 이런 상황에서 다시 또 재정을 소비하는 것보다 오히려 정확한 방법은 복제약"이라고 말했다. 연구개발비가 필요 없는 '카피약' 가격을 낮추면 건보 적용 없이도 탈모약을 싼값에 제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안 후보는 종합부동산세에 대해 "중산층까지도 내는 세금이 되어버려 원래 취지에 맞지도 않고 옳지도 않다"며 "근본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미국처럼 보유세는 높지만, 대신 거래세는 낮은 형태로 바꿔야 한다"고 방법론을 제시했다.

그는 청년들이 결혼과 출산을 망설이는 이유가 정책 실패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정책 실패"라고 단언했다. 안 후보는 "보육 이전에 만혼 또는 결혼을 하지 않는 것이 더 근본적인 문제"라며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려면 좋은 일자리를 만들고, 주거 비용을 해결하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로나19 백신 부작용을 정부가 어디까지 보상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백신이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아서 부작용에 대한 인과관계가 확실하지 않다"며 "정부에서 가급적 부작용이 생겼을 때 좀 더 포괄적으로 적용해 책임지고 보상하고 치료하는 것이 맞는다"고 했다.

안 후보는 '연금 개혁'에 대해서는 "국민연금 고갈 시점은 2055년이고 2088년이 되면 누적 적자가 무려 1경7000조원이 된다"며 "이 구조를 그대로 두는 것은 정치권인데, 양쪽 거대 기득권 정당 후보들에게 입장을 밝히라고 하는데 무슨 꿀 먹은 것처럼 말을 하지 않는다"고 윤석열 후보와 이재명 후보를 싸잡아 비판했다.

dongchoi89@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