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선 표심 노린 노동이사제·타임오프 입법 강행 안 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해 벽두부터 친노동 법안 처리가 임박해 우려를 낳고 있다.
대선을 목전에 두고 노동계 표심을 얻으려는 욕심으로 여야가 법안을 졸속처리한 것이다.
노동이사제 법안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작년 12월 "패스트트랙으로 신속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며 여당을 독려하고, 노동계를 의식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까지 찬성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대선 표심 잡기가 아무리 급하다고 해도 부작용이 뻔히 예상되는 법안을 졸속처리하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동이사제 법안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작년 12월 “패스트트랙으로 신속히 정리할 필요가 있다”며 여당을 독려하고, 노동계를 의식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까지 찬성하면서 급물살을 탔다. 문제는 노동이사제가 공공기관의 경영투명성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는 노동계 주장과 달리 외려 방만한 경영과 도덕적 해이를 더 부추길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노동이사제가 도입되면 노조의 입김이 너무 커져 공공 개혁은 물거품이 될 것이 뻔하다. 낙하산 경영진이 노조의 힘에 밀려 담합할 가능성이 높다. 민간 기업으로 번질 가능성도 농후하다. “부자 곳간 털러 가자”는 민노총이 노동이사제의 민간 확대를 내걸고 어떤 투쟁에 나설지 기업들은 걱정이 태산이다.
공무원·교원 타임오프제 역시 논란이 많다. 현재 공무원·교원 노조 전임자는 그 기간 중 휴직해야 했고 보수 지급도 금지됐다. 타임오프제가 공무원·교원 노조에 적용되면 노조 전임자의 급여를 노조가 아닌 공공기관이 지급하게 된다. 국민 세금으로 노조전임자 월급을 주는 건 납득하기 어렵다. 미국을 비롯해 독일·영국·일본 등에서 공무원 노조전임자의 무급 휴직을 원칙으로 하는 걸 봐도 그렇다.
한국 경제의 경쟁력을 추락시키는 최대 요인으로 노사 간 힘의 불균형으로 인한 노동시장 경직성이 꼽힌다. 노동이사제와 타임오프제는 노조 쪽으로 기울어진 운동장을 더 기울게 하고 경영 환경을 악화시킬 우려가 크다. 가뜩이나 극한 경쟁에 노출된 기업으로선 발목에 모래주머니를 다는 격이다. 대선 표심 잡기가 아무리 급하다고 해도 부작용이 뻔히 예상되는 법안을 졸속처리하는 것은 무책임한 처사다. 입법 강행에 앞서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마땅하다. 지금이라도 입법 절차를 중단해야 한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연봉 2억2000만원, 사택에 휴가비까지?”…여기가 진짜 ‘넘사벽’ 직장입니다
- 김혜경 여사, ‘90도’ 인사하는데…‘李 선배님’ 권성동, 못 본 척?
- 박정민, 시력 잃은 父 위해 ‘오디오북’ 제작 “난 장애인의 아들이야”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
- 이봉원, 사업 실패 → 7억 사채 빚...‘♥박미선’에게 이혼 당하지 않은 비법
- 불륜 스토리에 ‘미친X’ 분노...강다니엘, 녹화 도중에 욕설 → 사과
- “이러다 제주도 망한다”…한국인, ‘이곳’으로 몰려간 이유
- ‘탈모 논란’에 3,571모 심은 썸머퀸 “흑채 썼는데 물에 다 씻겨 나가”
- “진짜 오은영 맞아?”...바뀐 헤어스타일 ‘눈길’ → 민낯까지 최초 공개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