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훈의삶과철학] 작심삼일의 철학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새해가 밝았다.
다들 새해를 맞아 새로운 결심을 했을 것이다.
담배나 음식의 유혹을 잘 이겨 나가는 분도 계실 것이고, 작심삼일이 된 분도 계실 것이다.
결심을 못 지키는 것은 철학에서 고대 그리스 때부터 중요한 주제인데 '아크라시아'가 그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아크라시아를 두고 위대한 두 철학자의 견해가 달랐다. 먼저 소크라테스는 아크라시아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어떤 사람이 올바르게 파악했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자제력 없는 행위를 할 수 있는가?”라고 말한다. 예컨대 담배를 피워서 몸을 상하게 하는 고통보다 지금 당장 담배를 피워서 생기는 쾌락이 더 크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작심삼일하는 사람이 비난받아야 한다면, 그것은 자제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무지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 생각에 반대한다. 유혹에 참지 못하고 담뱃불을 다시 붙이는 사람은 흡연이 몸에 안 좋다는 것을 잘 알면서도 이성이 욕망과의 싸움에서 지고 말았다는 것이다. 무엇인가를 아는 것과 그것을 실천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소크라테스는 우리가 무엇인가를 잘 모르기 때문에 실천하지 못한다고 보겠지만, 그는 알면서도 그것을 실천하는 습관을 쌓지 못하면 자제력을 잃고 만다고 보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안다’라는 말을 둘러싼 논쟁인 것 같다. ‘자전거 타는 법’이라는 책을 읽으면 자전거 타는 법을 ‘안다’. 그렇다고 해서 자전거 탈 줄 ‘안다’고 말할 수 있는가?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식만 있어도 안다고 생각하지만, 소크라테스는 그것을 익혀야 안다고 보는 것 같다.
최훈 강원대 교수·철학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5세에 손녀 같은 막내딸까지 얻었는데…이혼설 터진 신현준, 진실은?
- “운동 다녀올게” 집 나선 40대女 참변…30대男 “너무 힘들어서”
- ‘78세’ 김용건, 붕어빵 늦둥이 아들 공개? “역시 피는 못 속여”
- “돈독 올랐다” 욕먹은 장윤정, ‘진짜 돈독’ 오른 사정 있었다
- “내 콩팥 떼어주면 돼” 언니에게 선뜻 신장 내어준 동생
- “개보다 못해” 아내에 피살된 유명 강사…백종원 피고발 [금주의 사건사고]
- 누군지 맞히셨어요?…아기 때 얼굴 전혀 없다는 유명 방송인
- “이제 10억으론 어림도 없어요”
- “한국인 45만명 사라졌다”…무슨 일이?
- "남자한테 참 안 좋은데~"… 우리도 모르게 섭취하고 있는 '이것' [수민이가 궁금해요]